컨텐츠 바로가기

03.16 (일)

권영세 "헌재 판결, 갈등 우려"…박찬대 "尹 옹호, 말문 막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종반부에 접어들면서 여야의 여론전도 고조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오늘 헌법재판소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서울서부지법을 각각 찾는데요, 국회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양소리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국민의힘 의원 40여 명이 오늘 오후 헌법재판소를 항의 방문합니다.

오늘은 윤상현, 김기현, 나경원 의원 등 윤 대통령 체포 당시 한남동 관저를 찾았던 의원들이 주로 참여할 거로 알려졌습니다.

당 지도부도 연일 헌재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오전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한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탄핵심판 판결이 갈등의 종결이 아니라, 더 큰 갈등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할 수밖에 없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께서 탄핵 심판 결과를 납득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헌재가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권 위원장은 또, 윤 대통령이 탄핵심판 결론에 앞서 하야 등의 거취 결정을 내린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런 것은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헌재 압박'이 비상계엄 사태를 옹호하는 것이란 입장인데요.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아침 회의에서, 지난 주말 국민의힘 의원들의 탄핵 반대 집회 참석 사실을 언급하며 "'노상원 수첩'의 내용을 보고도 윤 대통령을 옹호하는 데 말문이 막힌다"고 비판했습니다.

박 원내대표는 "계엄에 성공했다면 수첩에 적힌 정치인, 종교인, 체육인 등 수백 명을 체포 구금하고, 이들을 독살하는 일이 실제로 벌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야당 법사위 위원들은 오전 11시에 서울서부지법을 방문했습니다.

한 달 전 벌어진 서부지법 사태의 후속 조치를 점검하기 위한 건데요, 야당 법사위 간사인 박범계 의원은 서부지법에서 취재진과 만나 "국가기관의 3축인 사법부 침탈 폭동 사태가 다시는 있어선 안 된다"며 "완벽한 법적, 제도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국회 법사위에서는 '명태균 특검법' 심사가 시작되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법사위는 오늘 법안심사 소위를 열고 '명태균 특검법' 심사에 착수합니다.

해당 특검법은 지난 12일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야당 주도로 상정돼 법안소위로 회부됐는데요, 민주당은 열흘 뒤인 27일 본회의에서 특검법을 처리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명태균 게이트는 12.3 비상계엄의 방아쇠였다"면서 "비상계엄 선포는, 지난 대선 기간 여론조작 부정선거와 공천 개입 등 불법 행위가 드러나는 걸 막기 위한 극단적 조치였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대통령 내외의 선거 개입을 용인하는 '비리 권한대행'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명태균 게이트'를 계엄과 연계하면서 특검법을 추진하는 데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오전 회의에서 "민주당이 망상 소설에 기반한 명태균 특검법으로 국정위기를 조장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재명 사법리스크 모면을 위한 특검법 공세를 중단하라"고 말했습니다.

법사위 소속인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연합뉴스TV와 통화에서 "명태균 특검법에 당연히 반대 입장"이라며 "제대로 된 논의 없이 표결을 밀어붙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응책을 논의해 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양소리(sound@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