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 본회의장에 있었더라도 계엄 해제안에 찬성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한동훈 전 대표가 비상계엄 선포가 위헌·위법이라고 한 부분은 성급했다고 17일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에 가다 막혀서 당사로 가서 (비상계엄 해제) 표결을 지켜봤는데, 제가 현장에 있어도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이라면 책임 있는 사람의 말을 들어야 하는데, 대통령실 비서실부터 관련 장관한테 전화했는데 통화가 안 됐다. 도대체 뭔지 모르는 상태에서 무조건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이 행동하는 건 여당으로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게 이유다.
권 위원장은 “비상계엄은 잘못됐고, 과도한 조치”라면서도 “헌법상 요건에 맞는지, 적법한지는 헌법재판소에서 한참 심의 중이라 단정적으로 (내란이라고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최근 당 지지율이 올라가고, 탄핵 반대 집회에 지지층이 몰리자 비상계엄 선포의 적법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물타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전날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국회 본관 일부의 전력을 실제 차단했던 사실이 국회 폐회로티브이(CCTV)를 통해 드러났다. 그는 “계엄이 적법하게 선포됐을 경우 헌법기관에 (병력을) 보내는 건 맞지만, 국회에 보내는 건 문제가 있다”면서도 “(단전·단수는) 대통령 변호인단이 바로 부정했고, 가장 문제 됐던 정치인 체포하란 얘기, 회의 방해하란 부분은 헌재에서 다퉈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인을 끌어내라’는 윤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해당 발언이) 분명 있었다고 판단하기 이르다”며 “(이 발언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나 내란죄 수사에서도 핵심적 부분일텐데, 사법기관이 잘 판단해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국민의힘이 헌재의 편파성을 문재 삼으며 헌재를 흔들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선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헌재가 (심리)기간을 촉박하게 정하고, 변론기일 지정에 있어서 대통령 쪽 변호인단과 상의 없이 결정했다. 이런 식의 태도를 보이니까 (여론조사에서) 40% 이상이 헌재 행태에 신뢰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50% 가까운 분이 여전히 헌재를 신뢰하는 게 신기하다”고도 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또 비상계엄의 원인을 야당 탓으로 돌렸다. 그는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큰 충격을 몰고 왔지만, 계엄에 이르기까지 우리 정치가 과연 어땠는지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공직자 줄탄핵에 방탄입법, 핵심 예산 무차별 삭감까지, 국회에서 벌어진 일들이 과연 국민을 위한 정치였냐”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비상계엄 이전에 윤 대통령에게 “유튜브보다 신문이라든가, 티브이(TV)를 보는 게 중요하다고 세게 얘기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레거시 미디어에 대한 일종의 불만을 표했고, 유튜브에서 오히려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더라는 얘기를 한 적이 있었다”며 “그렇더라도 레거시미디어를 좀 보셔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을 비롯해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이들이 주로 문제 삼는 ‘사전투표제’와 관련해선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갔다. 권 위원장은 “사전투표는 투표 부정 여부와 상관없이 그게 헌법적으로 옳은지도 의심된다. 사전투표하게 되면 해당 지역 주민 입장에서 불과 일주일 선거운동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사전투표는 여러 의심도 많고, ‘인폼드 디시전’(informed decision, 충분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결정)을 방해하는 측면도 있어 이런 제도를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조기대선 출마 의지를 밝힌 한 전 대표를 직격했다. 그는 ‘22대 총선에서 참패한 원인’을 묻자 “대통령과 (당시 대표였던 한동훈) 대표 간 갈등이 굉장히 컸다고 생각한다”며 “공천도 여러 부정적인 면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획기적 공천도 이뤄졌다고 생각하지 않고, 배제정치를 했던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결론에 앞서 하야 등의 거취 결정을 내릴 가능성과 관련해 “그런 것은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