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SG 박지환이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렉스(K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타격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SSG 정준재가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렉스(K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캐치볼을 하며 몸을 풀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김동영 기자] 정신없이 1년이 지나갔다. 성공적인 데뷔 시즌을 보냈다. 이제 2년차다. 사령탑이 바로 ‘핵심’으로 못 박았다. SSG 박지환(20)-정준재(22)가 주인공이다.
박지환은 2024 KBO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자다. 전체 10순위이자 야수로는 1순위다. 정준재는 5라운드에 뽑혔다. 동국대를 다니다 얼리 드래프트로 나서 SSG의 부름을 받았다.
![]() |
SSG 박지환이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렉스(K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수비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작부터 좋았다. 박지환은 76경기, 타율 0.276, 4홈런 21타점, OPS 0.703을 올렸다. 지난해 6월11일 홈 KIA전에서는 끝내기 안타를 때리며 환호하기도 했다.
정준재는 88경기, 타율 0.307, 1홈런 23타점 16도루, OPS 0.776을 생산했다. 빠른 발을 보유했고, 수비력도 좋다. 정교한 방망이 실력까지 뽐냈다.
![]() |
SSG 정준재가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렉스(K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타격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루수 최정-유격수 박성한은 고정이다. 대신 최정은 관리가 필요하다. 3루 수비에 애착을 보이지만, 쉴 때는 또 쉬어야 한다. 길게 보면 주전 3루수로 박지환을 키우려 한다. 여차하면 외야까지 된다.
![]() |
SSG 이숭용 감독(왼쪽)이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렉스(K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박지환의 타격훈련을 지도하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감독은 “최정이 일주일에 2~3번 정도 지명타자로 나가게 되면, 그 자리에 박지환을 투입할 생각이다. 유격수도 박성한이 휴식이 필요한 경우 그 자리에 들어간다. 외야도 훈련하고 있다. 생각보다 괜찮다”고 설명했다.
![]() |
SSG 정준재(왼쪽)와 박지환이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레스(J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수비훈련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지환은 “수비는 3루와 유격, 외야까지 적응이 됐다. 완벽하게 플레이할 수 있도록 가다듬어야 한다. 타격도 일관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감독님께서 잘 알려주셔서 밸런스도 좋고, 많이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시즌 뛰며 많이 느꼈다. 자신 있게 해야 한다. 2024년보다 성장한 모습 보여드리겠다. 구단과 팬 기대에 부응하겠다. 어떻게든 팀에 이바지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 |
SSG 정준재가 미국 플로리다주 베로비치 재키 로빈슨 트레이닝 콤플렉스(KRTC)에서 진행 중인 2025 스프링캠프에서 주루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준재는 2루 고정이다. 2루수 고민을 해결할 선수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보여드리겠다. 지난시즌보다 좋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몸도 잘 만든 것 같다”고 짚었다.
이어 “특별히 몸을 키운 건 아닌데, 보는 사람들이 ‘커졌다’고 하더라. 다부진 모습 보여드리고 싶다. 다치지 않고, 꼭 풀타임 뛰겠다. 팀에 보탬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raining99@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