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8 (화)

매년 100조씩 느는 빚‥희망 버린 자영업자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고금리, 고물가, 소비침체까지 어느 때보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는 소상공인이 많습니다.

특히 지난 티몬-위메프 사태로 판매 대금을 돌려받지 못한 소상공인들은 폐업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장슬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서울 용산의 한 음식점, 비슷한 처지의 네 사람이 모였습니다.

[식당 주인]
"장사들이 잘돼야 안 추운데 장사들이 안돼서 추워."

용산전자상가에서 20년 가까이 장사해온 '사장님'들인데, 지난해 티몬·위메프 사태가 터지면서 300억 원 넘는 빚더미에 올라앉았습니다.

[A 전자기기 업체 대표]
"(티몬·위메프 사태로) 20년 동안 해왔던 거를 한 번에 다 앗아갔네."

정부가 1조 6천억 원,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발표할 때만 해도 고통의 긴 터널이 끝날 것만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누군가에겐 그림의 떡이었습니다.

[B 전자기기 업체 대표]
"상환 능력이 안된대. 빚이 많은데, '네가 이 돈 받아서 갚을 능력이 안 돼'."

그 사이 물가는 더 오르고 소비는 더 가라앉았습니다.

온라인 판매망에 대한 불신까지 겹쳐 매출은 70%나 곤두박질쳤습니다.

결국 폐업까지 고려해야 할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게 화도 나지 않은 이유는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맞아.>"

아예 폐업해 버린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는 역대 최대치를 넘어섰습니다.

어떻게 든 버텨보려던 소상공인들이 퇴직금과 같은 '노란우산 공제금'을 담보로 대출을 신청한 규모는 9조 원에 이릅니다.

코로나 이후 빚으로 버텨왔던 소상공인들에게 찾아온 물가 상승, 그리고 지난 연말을 강타한 계엄 사태, 연이은 악재에 소상공인들은 더 버틸 여력도 없어 보입니다.

[허준영/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1년에 자영업 부문의 빚이 100조씩 늘고 있거든요. '퇴로가 없었다'는 얘기입니다. 떠날 수 있는 분들은 떠냐야 하고…결국 이것은 재정이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한계 상황에 몰린 소상공인을 위해 최소 20조 원 핀셋 지원 추경이 필요하다고 호소합니다.

MBC뉴스 장슬기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장슬기 기자(seul@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