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뮌헨에서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전 종전 협상은 삐걱거리는 모습입니다. 뭐가 문제가 되고 있는지 현장에 곽상은 특파원 연결해서 물어보겠습니다.
곽상은 특파원, 미국이 제시한 협정 초안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무얼 문제 삼고 있는 것입니까?
<기자>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광물협정 초안에 대해 말한 내용부터 들어보시죠.
[볼로디미르 젤린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미국의 협정 초안에는 우크라이나에 매우 중요한 '안보 보장'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없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현실을 더 잘 이해하기를 바란다며 답답함을 토로했습니다.
<앵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협상에 유럽도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는데, 미국이 지금, 그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거죠?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줄기찬 요구에도, 켈로그 미 특사는 협상 테이블에 유럽의 자리는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키스 켈로그/미국 대통령 특사 : '협상 테이블에 앉는다'는 건 협상 능력과 발언권이 있다는 걸 의미하는데, 현재 미국에게는 관련된 두 파트너(러시아와 우크라이나)만 있습니다.]
유럽 국가들은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제안으로 내일 긴급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럽은 빠진 채로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측이 참여하는 3자 회담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릴 것이다, 이런 보도가 나왔던데요?
<기자>
네, AFP통신이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인데요.
지금까지 뮌헨안보회의 현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취재 : 김시내, 영상편집 : 김호진)
곽상은 기자 2bwith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뮌헨에서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전 종전 협상은 삐걱거리는 모습입니다. 뭐가 문제가 되고 있는지 현장에 곽상은 특파원 연결해서 물어보겠습니다.
곽상은 특파원, 미국이 제시한 협정 초안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무얼 문제 삼고 있는 것입니까?
<기자>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광물협정 초안에 대해 말한 내용부터 들어보시죠.
[볼로디미르 젤린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 미국의 협정 초안에는 우크라이나에 매우 중요한 '안보 보장'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없습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희토류 지분 50%를 요구하는 협정 초안을 건넸는데, 이 문서에 정작 우크라이나 안보보장은 포함되지 않았고, 그래서 서명할 수 없었다고 밝힌 것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현실을 더 잘 이해하기를 바란다며 답답함을 토로했습니다.
<앵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협상에 유럽도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는데, 미국이 지금, 그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거죠?
<기자>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줄기찬 요구에도, 켈로그 미 특사는 협상 테이블에 유럽의 자리는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키스 켈로그/미국 대통령 특사 : '협상 테이블에 앉는다'는 건 협상 능력과 발언권이 있다는 걸 의미하는데, 현재 미국에게는 관련된 두 파트너(러시아와 우크라이나)만 있습니다.]
유럽 국가들은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제안으로 내일 긴급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유럽은 빠진 채로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측이 참여하는 3자 회담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릴 것이다, 이런 보도가 나왔던데요?
<기자>
네, AFP통신이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인데요.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유럽과 공동 전략을 세운 뒤에야 푸틴과 마주 앉을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회동이 실제 이뤄질지 그 경우 어느 급에서 어떤 수준의 논의가 이뤄질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뮌헨안보회의 현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취재 : 김시내, 영상편집 : 김호진)
곽상은 기자 2bwith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