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헌재가 국정마비 공범…신뢰 바닥에 떨어져“
김기현 "헌재, '답정너' 변론 재검토해야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을 앞두고 여당이 심판 절차에 이의를 제기하며 연일 헌법재판소를 압박하고 있다. 강성 지지층을 결집하는 한편, 탄핵심판 일정을 최대한 늦춰 조기 대선 준비 시간을 벌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16일 페이스북에 “헌재 소송 지휘권이 TF가 써준 대본에 의한 것이라는 궤변을 납득한 국민이 얼마나 될까”라며 “헌재의 편파 불공정 소송 지휘가 헌재에 대한 불신과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13일 8차 변론기일 당시 윤 대통령 측이 소송 지휘와 관련해 이의를 제기하자, 문형배 헌재 소장 권한대행이 “제가 진행하는 대본이다. 이건 제가 쓴 게 아니다. TF에서 올라온 것”이라고 답한 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나 의원은 전날 울산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울산시민집회’에서도 헌재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나 의원은 “말도 안 되는 재판을 자행하는 헌재의 재판을 탄핵해야 한다”며 “헌재는 더불어민주당의 국정 마비 공동 정범”이라고 말했다.
![]() |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같은 집회에 참석한 김기현 의원 또한 “헌재가 재판을 하는지, 개판을 치는지 모르겠다”며 “헌법재판소가 아니라 ‘헌법개판소’라고 하는 말들이 들린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서 “헌재에서 증거로 채택한 각종 증거물과 증언들이 조작됐거나 거짓일 가능성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며 “이쯤 되면 헌재가 지금까지 '답정너'식으로 일방 진행해온 변론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두 사람을 비롯한 여당 중진 의원들이 연일 헌재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는 것은 결국 탄핵심판 일정을 미루기 위한 차원이라는 해석이 국회 안팎의 주된 시각이다. 당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조기 대선’을 금기어로 삼고 있지만, 조기 대선이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여권 대선 주자들이 몸을 풀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 |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나·김 의원의 경우 대표적인 친윤계가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끈다. 나 의원의 경우 2023년 당대표 경선에 나서려다가 친윤계의 견제를 받고 결국 불출마했다. 나 의원이 불출마한 선거에서 ‘윤심’을 업고 당선된 김 의원 역시 윤 대통과의 불화설 속에 9개월 만에 자진 사퇴했다.
두 사람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다시 윤 대통령과의 거리를 좁히고 있는 모습이다.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윤 대통령 체포 시도 당시 대통령 관저를 지킨 것은 물론, 윤 대통령 수감 이후 접견도 앞다퉈 다녀왔다.
여권 일각에서는 두 사람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이후 당내 권력 재편 과정을 바라보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강성 보수층의 지지를 기반으로 향후 전당대회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백준무 기자 jm100@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