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 통해 전망
테슬라·애플·삼성·현대차·LG·네이버 등 100대 기업 선정
브레인·보디·인터그레이터 세 부류 기업으로 나뉘어
16일 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최근 발표한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서 테슬라·애플·아마존·삼성·현대차·LG·네이버 등을 100대 핵심 기업으로 선정하며 이 같이 전망했다.
![]() |
보스턴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로봇이 공장에서 일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보스턴다이내믹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모건스탠리는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내 기업들을 △브레인(Brain) △보디(Body) △인터그레이터(Integrators) 세 부문으로 나눴다.
브레인 부문은 AI 칩과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휴머노이드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포함됐다.
국내에선 삼성전자(DS부문)와 SK하이닉스가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기업 중에선 엔비디아, 메타,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브레인에 속했다.
보디 부문은 배터리를 포함한 하드웨어 기업들이 차지했다. 국내에선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이 선정됐다.
인터그레이터 부문은 인공지능과 하드웨어를 결합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기업들이다.
국내에서는 네이버, 삼성전자(DX부문), 현대자동차, LG가 선정됐다. 글로벌 기업으로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소니 등이 이름을 올렸다.
현대자동차는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 '스팟'과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가 대표 모델이다. 아틀라스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운동성이 뛰어난 로봇으로 평가받는다.
![]() |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 캡처. [사진=모건스탠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는 지난달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투자를 본격화했다. LG는 LG전자의 로봇 상용화, LG AI 연구원의 AI 모델 연구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네이버는 로봇 개발 뿐만 아니라 AI 거대언어모델(LLM),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로봇 운영체제(OS) 등 휴머노이드 로봇에 필요한 원천 기술을 보유해 인터그레이터 부문에 포함됐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향후 10년 간 기술투자의 핵심 주제가 될 것"이라며 "관련 시장 규모도 향후 10년간 60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