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7 (목)

[기자수첩] 택배 기사에 주 52시간 근무는 '그림의 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 7일 배송시대에 근로자 근무 환경 개선은?

유통업계가 빠른 배송을 내세우면서 주 7일 배송 시대가 열린 가운데, 택배 기사들의 처우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올해부터 주 7일 배송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대형 이커머스들은 일요일 배송을 도입하고 전국 권역으로 주 7일 배송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빠른 배송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이커머스들의 전략이다. 당일배송, 새벽배송을 비롯해 최근에는 1시간 내외로도 배송이 가능한 그야말로 '총알 서비스'가 등장했다.

이와 함께 택배 배송 기사들의 처우에 대한 논란도 또 다시 수면 위로 올랐다.

배송 기사는 물류센터에서 상품을 픽업하고 고객에게 배송을 완료하기까지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 이 과정에서 주어진 업무량을 처리하기 위해 불철주야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 또 대다수 배송 기사는 계약직이나 하청을 통해 고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고용 상태나 노동 조건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지난해 6월까지 질병사망으로 산업재해가 승인된 택배업 종사자는 총 40명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논란을 진화하기 위해 택배업계는 배송 기사들의 주 5일제 도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주 5일제 요구가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택배노동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리점이 지금보다 더 많은 인력을 투입하거나 택배기사가 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 7일 배송을 도입한 CJ대한통운 역시 새로운 근무형태를 도입하면서 일부 대리점과 기사들의 사이에서 진통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리점과의 협의, 택배기사들의 수입 감소 등은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배송기사들의 과중한 근로와 처우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현대 사회의 물류 시스템과 이커머스의 치열한 경쟁으로부터 발생한 구조적인 문제다. 배송업체들은 효율성을 추구하면서도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정부의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