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편의점 업계가 지난해 점포 수 확대에 따라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에서는 아쉬운 성적을 냈다. 올해는 한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는 아시아 국가 중심으로 해외 시장 확대에 나서면서 수익성 제고에 주력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25는 지난해 매출이 8조6661억원으로 전년대비 5.1%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183억원에서 1946억원으로 10.9% 감소했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도 연결 기준 매출은 8조6988억원으로 6.2%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0.6% 줄어든 2516억원을 기록했다.
신규 출점으로 매출은 늘었으나 이에 따른 감가상각비와 광고 판촉비 등도 함께 늘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GS25는 2022년 매장수 1만5453곳에서 지난해 1만8112곳으로 점포 수가 늘었다. CU도 이에 질세라 2022년 점포수 1만6787곳에서 지난해 1만8458곳으로 출점을 늘렸다.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1∼3분기 누적 매출이 4조5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줄어 영업손실이 224억원에서 528억원으로 두배 이상으로 늘었다.
이마트24도 지난해 매출은 2조1631억원으로 2.8% 줄었고, 영업손실은 230억원에서 298억원으로 확대됐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과열된 출점 경쟁과 장기화된 소비침체, 인건비를 포함한 고정비가 증가가 수익성 악화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편의점 업계는 해외 사업 확대와 점포당 수익 극대화로 전략을 세웠다.
GS25는 올해 베트남과 몽골에서 각각 500곳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까지 몽골 267곳, 베트남 355곳을 운영, 총 622곳으로 늘린 상황이다. 2022년(323곳) 대비 두 배 가까이 확대한 수준이다. 회사는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매장 수 1500곳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몽골에서는 수익 강화와 질적 성장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정보통신(IT) 기술 고도화를 활용한 가맹사업 확산에 힘쓸 방침이다
2018년 몽골에 처음 진출한 CU는 지난해 상반기(1~6월)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몽골의 파트너사인 프리미엄 넥서스(옛 센트럴 익스프레스)의 작년 상반기 경상이익은 한화 39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국내 편의점 업계 가운데 해외 사업에서 흑자를 낸 것은 CU가 처음이다.
CU는 몽골의 성공적인 진출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낸다. 몽골에서는 올해 500곳 출점 계획을 세웠다.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은 각각 2028년, 2029년까지 각각 500곳 이상의 점포 오픈하며 글로벌 K-편의점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이마트24는 지난해 기준 말레이시아에서 73곳, 캄보디아에서 3곳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 5년내 말레이시아 300곳, 캄보디아 100곳 오픈을 목표로 하며 매장 확대를 추진한다.
국내 사업의 경우 GS25는 온라인 채널과 오프라인 매장을 연계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O4O에 집중하고 CU는 '라면라이브러리'와 같은 특화 매장을 확대한다. 세븐일레븐은 자체 브랜드(PB) '세븐셀렉트' 상품을 강화하고 글로벌 소싱에 집중해 상품 차별화에 나선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편의점 시장이 포화 상태인 상황에서 출점 경쟁은 수익성 둔화의 요인이 됐다"며 "해외로 눈을 돌리고 상품 경쟁력을 높여 수익성을 높일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