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2기 세계경제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수요 급증
-5대銀, 이달 골드바 406억 판매…실버바도 불티 판매
![]() |
16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앞을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골드바와 골드뱅킹 판매가 나란히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값이 치솟으면서 골드바에 이어 실버바까지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월 1~13일 골드바 판매액은 총 406억345만원으로 집계됐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증가로 금 가격이 최고치를 경신했고 은까지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월가 은행들은 유럽에서 미국으로 대규모의 금괴를 옮기는 등 전 세계에 금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1일부터 13일까지 골드바 판매액은 총 406억34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동기 판매액(135억4867만원)의 3배, 전년 동기 판매액(20억1823만원)의 20배에 달하는 규모다.
5대 은행의 하루 골드바 판매액은 이달 초만 하더라도 2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관세 인상을 예고하면서 국제 금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판매액도 뛰었다.
이처럼 금 투자에 뭉칫돈이 몰리자 골드바 주요 공급처인 한국조폐공사가 은행들에 골드바 공급을 잠정 중단하면서 지난 12일 이후 판매액은 더욱 확대됐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2일부터 골드바 판매를 중단했다. 그러자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 판매액이 11일보다 각각 약 2배 늘어났다.
이런 가운데 은 수요까지 급증하면서 시중은행 3곳에서 ‘실버바’ 판매를 중단했다. KB국민·신한·우리·NH농협은행 등 4곳의 이달 1일부터 13일까지 실버바 판매액은 총 5억298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미 전월 판매액(7703만원)을 뛰어넘은 데 이어 전월 대비 약 7배 급증했다.
실버바 수요 폭증으로 신한, 우리, 농협은행은 14일부터 실버바 판매를 중단하고 나섰다. NH농협은행은 14일부터 골드바뿐 아니라 실버바 판매까지 중단했다. 우리은행도 같은 날부터 골드·실버바 판매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신한은행도 한국금거래소로부터 공급받는 실버바 판매를 중단했다. 다만 한국금거래소뿐 아니라 LS MnM을 통해 금을 조달받는 신한은행은 골드바 판매를 이어간다.
금 투자 열풍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금값이 고공행진하자 월가 은행들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대규모의 금괴를 옮기는 일까지 벌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뉴욕과 런던의 금값 격차로 몇 년 내 가장 큰 규모로 대서양을 건너는 금괴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런던 금 가격이 뉴욕보다 더 낮으면서 런던에서 금괴를 구매해 뉴욕에서 판매하기 위해 월가 은행들이 상업용 비행기 화물칸에 금괴를 수송하고 있다. 뉴욕상업거래소(COMEX) 자료에 따르면 JP모건은 이번 달에만 40억 달러의 금을 수송할 예정이다. 금을 뉴욕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많아지자 영국인들은 잉글랜드 은행 금고에서 금괴를 찾기 위해 몇 주간 대기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한편 올해 뉴욕 금 선물 가격은 지난 12일 온스당 2909달러로 마감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사상 처음으로 금 선물 가격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압박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을 이끌었으며, 중국의 금 매입 지속도 가격을 견인했다”면서 “금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를 자극할 경우 금리 인하 기대감을 약화시키고, 경기에 대한 우려와 관세 불확실성이 안전자산 선호를 자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