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2 (토)

박찬대 “尹, 계엄으로 영구집권 구상한 듯…명태균 특검으로 동기 밝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공개된 ‘노상원 수첩’의 의미와 김건희 여사의 비상계엄 개입 정황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명태균의 ‘황금폰’이 비상계엄의 단초가 됐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또한 계엄이 궁극적으로 영구 집권을 목표로 했다고 꼬집었다.

박 원내대표는 16일 국회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자신과 김건희의 처벌을 막으려면 반대파를 숙청하고 영구 집권을 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명태균 게이트는 비상계엄의 ‘트리거’였다”며 “명태균 구속과 황금폰 공개 입장은 비상계엄을 앞당긴 결정적 계기였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 때문에 “‘명태균 특검’이 비상계엄의 동기를 밝히는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황금폰은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와 윤 대통령 부부가 국민의힘 공천 등을 주제로 한 대화 녹취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박 원내대표는 “창원지검은 지난해 11월 4일 수사보고서 작성 후 태도가 돌변해 수사를 회피하고 있다”며 “보고서에 명태균과 윤석열 부부가 공천 관련 통화한 사실이 확인됐지만 후속 수사가 없다”고 비판했다.

명태균 특검법을 두고 ‘여당 탄압법’이라고 반대하는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명태균 게이트 탓에 비상계엄이 선포됐는데 그 진실을 덮어버리자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명태균 특검법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이보다 앞서 19일에는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릴 특검법 관련 현안질의에 명씨가 불출석하면 그가 수감된 경남 창원교도소 현장 방문도 검토 중이다.

박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계엄 선포 무렵 김 여사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정황이 나온 것을 두고 김 여사가 비상계엄에 직접 개입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박 원내대표는 “상식적으로 민간인이 국가 최고 정보기관의 수장과 문자를 주고받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어떤 내용의 문자를 주고받았는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비상계엄이 명태균이 황금폰을 공개하겠다고 밝힌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3일에 전격적으로 선포됐다는 점에 비춰볼 때 김건희가 12·3 비상계엄에 관여한 정황증거이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의 핵심 인물인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의 수첩에 문재인 전 대통령,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 등의 이름과 함께 ‘사살’ 등의 문구가 담긴 것을 두고는 “계엄은 경고용이 아니라는 게 증명됐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수첩에는 ‘전국민 출국금지’, ‘3선 집권 구상방안’, ‘후계자는?’ 등 메모가 있다”며 “비상계엄 성공 시 헌법과 법을 개정해 3선 집권과 영구집권을 구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한편 박 원내대표는 정부가 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내란 특검법’ 재표결 시기와 관련해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3월 초 정도에 나오지 않겠나”라며 “그 전후 적절한 시점에 재표결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