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정치권에 따르면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17일 헌법재판소를 찾아 윤 대통령 탄핵심판 편파성과 불공정성 문제를 항의할 예정이다. 앞서 한남동 관저 앞 집회에 참석했던 의원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권성동 원내대표는 지난달 22일과 지난 12일 두차례 헌법재판소를 찾아 탄핵심판의 절차적 공정성을 문제 삼은 바 있다. 당내에서 국힘 의원 전원이 단체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면서 다수의 의원이 이날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측의 증인 신청을 받아들여 오는 20일 변론기일을 한 번 더 열기로 했다. 오는 18일에는 9차 변론기일로 서면증거 조사와 탄핵소추 사유에 대한 양측의 입장 표명이 이뤄질 예정이다. 사실상 20일 열리는 10차 변론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마지막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 |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리는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탄핵 시계가 빠르게 종착역으로 향해가면서 국민의힘 의원들의 발언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이날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헌재의 편파성과 무능함은 이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그것을 넘어섰다”며 “지금까지 '답정너'(답은 정해져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된다는 뜻의 신조어)식으로 일방 진행해온 변론을 원점에서 다시 재검토해 충실한 증거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권성동 원내대표도 “(윤 대통령) 방어권을 제대로 보장 안 해주고 쫓기듯이 지나치게 빨리 진행한다”며 “피소추인이 주장하는 증인 요구를 더 과감하게 수용하고 충분히 변론 기회를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 선고 날짜는 이르면 3월 초중순이 유력하다. 10차 변론기일을 마지막으로 절차가 종료되면 통상적으로 2주간의 평의를 거쳐 선고가 이뤄질 수 있다 .
이에 여권의 잠룡들도 장외여론전도 치열해지고 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날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해 “공정성을 잃은 헌재를 국민이 나서서 바로잡아야 한다”며 “결론을 미리 정해놓고 그냥 쫓겨서 밀어붙이는 거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나경원 의원도 “헌법재판소는 국정 마비의 공동 정범으로 편향적이고 불공정하게 재판을 진행하고 있으며, '헌법 파괴자'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에 대한 선고 기일이 가까워질수록 이들간 장외여론전은 치열해질 것”이라며 “여권에서는 헌재의 불공정성을 명분으로 삼아 조기 대선의 동력으로 활용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