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달 4일 서울 시내의 한 건설 현장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건설 공사비가 상승하면서 주요 대형 건설사의 매출 원가율이 평균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등한 공사비에 건설사와 발주처 간 공사비 증액을 둘러싼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가운데 현대건설과 금호건설의 매출 원가율이 각각 100.6%와 104.9%로 집계됐다. 매출 원가율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매출 원가의 비율이다. 매출 원가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회사가 벌어들인 것보다 지출한 돈이 더 많다는 뜻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결 기준 1조2209억원의 대규모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금호건설 역시 181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매출 원가율이 90% 안팎을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매출 원가율이 91.2%로, 지난해 영업이익(4031억원)이 전년 대비 39.2% 감소했다.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의 매출 원가율은 각각 91.3%, 90.9%로 집계됐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매출 원가율은 89.4%, DL이앤씨의 경우 89.8%를 기록했다.
금호건설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기업은 모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에 속하는 기업들이다. 이 6개 기업의 매출 원가율은 평균 92.2%로 집계됐다.
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이 상승한 주요 원인은 공사비 상승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더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발발하며 원자잿값과 인건비 등 주요 비용들이 모두 상승했다. 건설 공사비 지수는 2020년 12월 102.04에서 지난해 12월 130.18로 27.6% 올랐다.
건설 공사비 상승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여력이 없는 건설사들은 공사비를 증액하고 있다. 그러면서 일부 현장에서는 공사비 증액에 따른 분쟁과 소송전이 잇따르고 있다.
두산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은 2019년 공동 수주한 김해 더스카이시티 아파트 공사비를 이달 초 845억원 증액했다. 조합 측과는 증액안에 합의했지만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GS건설은 최근 서울 신반포4지구 재건축(메이플자이) 조합에 총 4859억원 규모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했다. 이 중 2571억원에 대해서는 조합을 상대로 지급 소송을 걸었다.
건설 공사비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3년간 지속해 상승해 왔던 공사비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설기업의 경영 여건이 급격히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관측했다.
김유진 기자(bridg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