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시간 노동 등 '불완전 취업' 청년은 급증
고령층 고용 늘고 청년층 감소하는 추세 굳을라 우려
![]()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됐다.
16일 통계청 KOSIS(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 같은 달보다 0.8%p 오른 16.4%를 기록했다.
이러한 체감실업률 증가폭은 2021년 2월(26.8%)의 3.7%p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수치다.
'고용보조지표3'은 노동시장에서 채워지지 못하는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나타내는 지표로, 구직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고용 상황을 보여주는 '체감실업률'이라고도 불린다.
통계에서 실업자는 △지난 1주일 동안 일을 하지 않았고 △일이 주어지면 일을 할 수 있으며 △지난 4주간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한 사람만을 '실업자'로 보기 때문에 통계 상의 실업률과 체감실업률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고용보조지표3은 '경제활동인구와 구직활동을 했지만 사정이 생겨 일을 할 수 없는 '잠재취업가능자', 일을 할 수 있으나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잠재구직자' 등 '잠재경제활동인구' 대비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와 실업자,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더한 수치의 비율로 산출한다.
고용보조지표3은 2021년 1월 27.2%를 정점으로 하락해, 전년대비 기준 2021년 3월부터 45개월 동안 꾸준히 내리막길만 걸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전년대비 0.5%p 상승한 16.0%를 기록했고, 지난달에는 상승 폭이 더 커졌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고 실업자 수는 23만 명으로 1만 6천 명 줄었지만, 체감상 어려움은 최근 들어 갑자기 커졌다는 뜻이다.
![]() |
통계청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1월 고용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청년 체감실업률이 크게 악화한 것은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 1천 명으로 1년 전보다 4만 1천 명 늘었다.
이 역시 2021년 2월(4만 6천 명)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으로, 추가 취업 의사·능력이 있는 이들이다. 즉 당장은 단시간 노동에 종사하고 있지만, 본인의 직업을 바꿔 다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다.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현재 하는 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 "현재 하는 일 이외의 다른 일도 하고 싶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수 있는 일(직장)로 바꾸고 싶다"고 답한 이들이다.
이들은 일단 취업자로 통계에 잡히지만, 정규직 등 안정된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들이 생계 등을 위해 임시·단기 일자리에 뛰어든 경우가 많다.
한편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가 큰 폭(-21만 8천 명)으로 줄면서 1.5%p 하락한 44.8%를 기록했다.
2021년 1월(-2.9%p)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영향이 커보인다.
일자리 시장이 이렇다 보니 지난달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통계도 청년층에서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증가해 43만 4천 명을 기록했다.
경기 악화가 후행지표인 고용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고령층이 고용시장을 견인하고 청년층에서는 감소하는 추세가 본격적으로 굳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가능하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끊기 위해 일단 양질의 일자리로 불리는 공공부문에서 '마중물'을 댈 방침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4일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공공기관 신규채용을 작년 2만 명에서 올해 2만 4천 명으로 확대하고, 인턴도 청년이 선호하는 장기인턴 비중을 높이겠다"며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을 설치하여 민간의 일자리 창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