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줄인상에 소송전까지…분양 포기·인근 전월세 상승 등 부작용 예상
![]() |
입주 예정자들과 면담하는 육동한 춘천시장 |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건설 공사비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주요 대형 건설사 매출 원가율이 평균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솟는 공사비에 건설사와 발주처 간 공사비 증액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거나 소송전을 벌이는 현장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2024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중 현대건설과 금호건설은 지난해 매출 원가율이 각각 100.6%와 104.9%(이하 잠정 실적 기준)로 집계됐다.
매출 원가율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매출 원가의 비율로, 이 비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회사가 벌어들인 돈보다 지출한 돈이 더 많다는 의미다.
현대건설은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잠정 1조2천20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3년 만의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금호건설도 1천818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GS건설의 매출 원가율은 91.3%, HDC현대산업개발은 90.9%로 집계됐다.
삼성물산 건설부문(89.4%)과 DL이앤씨(89.8%)도 90%에 육박했다.
금호건설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기업은 모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에 속하는 기업들로, 이 6개 기업의 매출 원가율은 평균 92.2%다.
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이 오른 것은 공사비 상승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며 원자잿값과 인건비 등 주요 비용들이 모두 큰 폭으로 올랐다.
이에 따라 건설 공사비 지수는 2020년 12월 102.04에서 지난해 12월 130.18로 27.6% 상승했다.
![]() |
내년 아파트 분양도 '침체' 예상 |
건설 공사비 상승은 건설사들의 공사비 증액으로 이어지며 일부 현장에서는 분쟁과 소송전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두산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은 2019년 공동 수주한 김해 더스카이시티 아파트 공사비를 이달 초 845억원 증액했다.
GS건설은 최근 서울 신반포4지구 재건축(메이플자이) 조합에 총 4천859억원 규모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고, 이 중 2천571억원에 대해서는 조합을 상대로 지급 소송을 제기했다.
이 단지는 오는 6월이 입주 예정이어서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인근의 전월세 이동에도 영향을 미쳐 최대 1만 가구가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부동산 업계는 보고 있다.
분쟁이나 갈등 없이 조합과 원만하게 공사비 증액에 합의한 경우도 있다.
현대건설은 2017년 3.3㎡당 548만원에 수주한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재건축(1·2·4주구) 공사비를 지난해 9월 793만원으로 올렸다. 이에 따른 공사비는 총 3조8천959억원 규모다.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HDC현대산업개발이 공동 시공한 잠실진주재건축(잠실래미안아이파크)은 당초 666만원이던 공사비를 지난달 847만원으로 올렸다.
![]() |
레미콘 단가 상승, 분양가도 오름세 |
다만 공사비 인상이 원만히 이뤄졌더라도 인상된 공사비는 분양가 상승과 전월세 인상 등으로 인근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입주 예정자들도 경제적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심지어 분양을 포기하는 사태까지 벌어질 수 있다"면서 "공사비 갈등으로 입주가 지연되는 경우에는 인근 전월세 시장 가격도 오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공사비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산연은 지난달 발표한 2025년도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 3년간 지속해 상승해 왔던 공사비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설기업의 경영 여건이 급격히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박 연구위원은 "2022∼2023년도에 시작된 공사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에 2023년도에 발생한 공사가 마무리될 때쯤인 올해나 내년 상반기까지는 건설사 매출액이 최저치를 찍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oh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