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부부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123RF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훌륭한 섹스의 비결은 비밀이 아닙니다. 올바른 질문을 하기만 하면 됩니다.”
인간 성생활 분야의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자인 윌리엄 야버(81) 미국 인디애나대(IU) 교수는 14일(현지시간) 공개된 CNN과의 인터뷰에서 “로맨틱한 파트너에게 ‘어떻게 만지는 걸 좋아해?’, ‘나는 이렇게 만지는 걸 좋아해’ 등 마법 같은 말을 묻고 답하는 것”이 훌륭한 섹스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야버 교수는 2012년 한국에도 출간된 ‘인간의 성’(Human Sexuality)이라는 책의 저자로도 유명하다. 이 책은 미국 전역의 300개 이상의 대학에서 교과서로 지정돼 있다.
이런 야버 교수가 전 부인과 사별한 지 3년 만에 새로운 낭만적인 관계를 찾기를 갈망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야버 교수는 2000년 고등학교 영어 교사인 마가렛 코버와 결혼해 2017년 코버가 뇌졸중을 앓게 될 때까지 혼인 관계를 유지했다. 야버 교수에 따르면 부인이 독립적인 생활을 원했기에 이 시기 이혼을 결정했지만, 이후 2021년 8월 코버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보호자로서 긴밀한 관계를 이어갔다.
![]() |
윌리엄 야버 미국 인디애나대 교수. 인디애나대 킨지 연구소 홈페이지 캡처 |
나이가 비슷했던 두 사람은 극장에 가 외국 영화를 보는 것을 공통적으로 좋아했다. 야버 교수는 “우리는 감정적으로 친밀했다”며 “(사별 후에도) 여전히 코버를 사랑했고, 다른 사람을 찾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나 전 부인을 먼저 보내고 혼자가 된 지 3년이 흐른 지금, 야버 교수는 외로움을 느끼고 있으며 서로 애정 관계와 역동적인 유대감을 함께 쌓아갈 수 있는 파트너를 찾고 있다.
미국 공중보건국의 2023년 보고서 ‘외로움과 고립이라는 우리의 전염병’(Our Epidemic of Loneliness and Isolation)에 따르면 미국 성인 2명 중 1명은 ‘외로움을 경험한다’고 답했으며, 특히 노인층에서 사회적 고립률이 가장 높았다.
![]() |
인간 성생활 분야의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자인 윌리엄 야버 미국 인디애나대 교수의 대표 저서 ‘인간의 성’(Human Sexuality) 원서(왼쪽)와 한국어 번역서 표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야버 교수의 동료인 인디애나대 킨지 연구소의 수석과학자 저스틴 가르시아 박사는 “윌리엄은 정말 훌륭한 자질을 갖고 있다. 그는 매우 사교적이고, 호기심이 많고, 유머 감각도 갖췄다. 또 흠잡을 데 없는 패션 감각으로 캠퍼스에서 가장 잘 차려 입는 교수 중 하나”라며 야버 박사가 새로운 파트너를 찾는 것을 지지했다.
가르시아 박사는 그러면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앱)과 데이팅 웹사이트는 오늘날 싱글들이 파트너를 만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며 “50대 이상은 데이팅 앱 사용자 중 가장 빠르게 늘고 있는 연령층”이라고 설명했다.
야버 교수는 이같은 동료들의 도움을 통해 그가 과거 데이트를 하던 시절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데이팅 앱 사용을 시도해보고 있다.
야버 교수는 섹스는 나이에 상관없이 로맨틱한 관계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는 의견에 동의한다. 그는 “나이에 비해 몸매가 좋은 편이다. 또 젊어 보이게 하는 좋은 식단을 하고 있다”면서 “(새 파트너를 찾기 시작한 후) 내 인생이 바뀌었다. 걸음걸이에 활력이 더 생겼다”며 웃었다.
이정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