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6 (수)

한미 외교 “북한 완전한 비핵화 재확인…관세 해법 모색키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조태열 장관과 마코 루비오 장관은 15일(현지시각) 아침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리는 뮌헨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한미외교장관회담을 개최했다. 사진 외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15일(현지시각) 독일 뮌헨에서 첫 외교장관 회담을 가졌다.



조태열 장관과 마코 루비오 장관은 이날 아침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리는 뮌헨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한미외교장관회담을 개최했다. 다자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번 회담은 현안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하기엔 한계가 있었지만, 회담 시간은 당초 예정된 30분보다 긴 40분이 걸렸다. 조태열 장관은 미국 우선주의를 기치로 내걸며 “안전·힘·번영”이란 3대 외교 원칙을 제시한 미국에게 한국은 “안전하고, 강력하며, 번영하는 동맹을 만들기 위한 최적의 파트너”라는 점을 각인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했다. 새로운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도 경제 협력을 비롯해 대북 공조와 확장억제,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는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목표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는 (양국의) 첫 대면으로서 일단 개인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바탕으로 현안에 대한 한국의 생각을 전달하고 협조를 구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말했다.



회담에선 북핵 문제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미국의 관세 부과 및 조선과 에너지 등 산업 협력 과제 등이 두루 논의 대상에 올랐다.



북핵 문제 및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과 관련해 양국은 완전한 비핵화 목표 유지와 확장 억제 공약을 재확인했다. 외교부는 “(양국)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며 향후 대북정책 수립·이행 과정에서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며 “러북간 군사협력 관련 우려를 공유하고 계속 예의주시하며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밀어붙이고 있는 외국산 철강, 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조처 등에 대한 한국의 입장도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조 장관이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간 긴밀한 협의에 의한 해결 의지를 밝히고,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고 당부한 데 대해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간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고 전했다. 양국 장관은 또 “조선, 원자력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첨단기술 등이 앞으로 한미의 전략적 협력과제라는 데 공감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관세 문제는 미국도 이제 검토해 협의해 나가는 과정이다. 한국 (국민과)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협의를 시작하는 메시지를 전달해 (사안을) 해결해 나가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하고 싶다“고 말했다.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뒤 각국은 관세 부과 등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한 외교전에 나섰다. 그러나 국내에선 12·3 내란사태에 따른 권력 공백이 길어져 대미 정상 외교에 적신호가 커진 가운데, 이번에 양국 고위급 첫 상견례가 이뤄졌다. 회담에선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위한 당부도 오간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관계자는 “루비오 장관에게 정상 차원에서 계속 협조를 당부했다”며 “루비오 장관은 양국 사정과 무관하게 정책적 연속성을 갖고 신뢰 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미국 국무부도 이날 한미 외교장관회담 결과를 설명한 보도자료를 내어 “루비오 장관은 한국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한미동맹의 강인함에 대한 그의 신뢰를 재차 밝혔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뒤 미국 정부가 공식 발표 자료를 통해 권한대행 체제를 지지하는 메시지를 낸 것은 처음이다. 다만 최 대행과 트럼프 대통령 사이 전화통화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아, 조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루비오 장관에게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가 성사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





뮌헨/장예지 특파원 penj@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