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5 (화)

포고령, 사실상 '대통령 승인' 확인…탄핵심판 남은 쟁점은?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법조팀 조해언 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자 조해언 기자, 지금까지 탄핵심판 변론기일이 8차례나 열렸는데 핵심 쟁점들 얼마나 정리가 됐습니까?

[기자]

지난달 23일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4명의 증인이 나왔는데요, 비상계엄 선포, 그리고 포고령 1호의 위헌·위법성 정치인 체포 등 국회 활동 방해, 선관위 장악 등 헌법재판소가 정리한 4개 쟁점에 대한 기초적인 사실관계와 양측 주장의 핵심 내용은 대부분 정리가 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

쟁점별로 살펴보면, 먼저 비상계엄 선포가 요건에 맞지 않았다 이런 증언은 많이 나왔잖아요?

[기자]

네 국회 측은 비상계엄 선포가 요건에 맞지 않았고, 또 제대로 된 국무회의도 거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과 김용현 전 장관 등 이른바 '충암파'의 입을 빌려 국무회의의 적법성을 주장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하지만 정부 내에서도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상목 권한대행,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은 "국무회의의 흠결이 있었다"고 했고요.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또 다른 인물, 조태용 국정원장도 헌재에 나와 비상계엄에 찬성한 사람은 없었다고 헌법재판소에서 증언했습니다.

[앵커]

네 그리고 포고령의 위헌성도 따져봤죠.

[기자]

네 위헌위법한 포고령 1호를 어떻게 만들어졌고 누가 최종 승인했는지도 헌재에서 따져봤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 신문 과정에서 주로 다뤄졌는데 한번 들어보시겠습니다.

[탄핵심판 4차 변론/지난 1월 23일 : '전공의' 이걸 왜 집어넣었냐 웃으면서 얘기를 하니 '이것도 그런 측면에서, 계도한다는 측면에서 그냥 뒀습니다'고 해서 저도 웃으면서 놔뒀는데, 그 상황은 기억하고 계십니까? {예, 기억합니다. 지금 말씀하시니까 기억납니다.}]

윤 대통령 측은 포고령을 실행할 계획이 없었다고 강조했지만 되레 위헌, 위법한 포고령의 최종 승인자가 윤 대통령이었다는 점만 명확해졌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앵커]

국회 봉쇄, 그리고 정치인 체포 부분은 핵심 쟁점으로 꼽혔는데, 그런 만큼 가장 치열한 공방이 이뤄진 부분이죠?

[기자]

국헌문란 목적을 입증할 수 있는 핵심적인 부분이다 보니 가장 치열한 공방이 이뤄졌습니다.

[송진호/윤석열 대통령 대리인 (지난 1월 23일) :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요원을 빼내라고 한 것을 김병주 국회의원이 의원들을 빼내라 하는 것으로 둔갑시킨 것이지요?]

네 의원이 아니라 요원이었다 이런 주장까지 나올 정도였고, 많은 사령관들이 헌재에 증인으로 나왔는데요.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은 헌재에서 대통령의 직접 지시를 부인했지만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과 조성현 수방사 제1경비단장은 의원을 끌어내란 지시가 분명히 있었다고 진술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지난 6일) : {데리고 나오라고 지시한 대상이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국회의원들 맞죠?} 정확히 맞습니다.]

[조성현/수방사 제1경비단장 (지난 13일) :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이렇게 했단 말입니까?} 그렇습니다. 내부로 들어가서 의원들을 끌어내라.]

[앵커]

네 그리고 윤 대통령 측에선 부정선거 수사가 필요했다며 선관위 장악 시도도 정당화하려고 했죠.

[기자]

그렇습니다. 탄핵심판 내내 부정선거와 관련된 주장이 쏟아졌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윤 대통령 측 증인 백종욱 전 국정원 차장은 '선관위 점검 결과 해킹 흔적은 없었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기도 했습니다.

[앵커]

탄핵심판 결론은 언제쯤 나오나요?

[기자]

일단 다음주 화요일과 목요일, 두 차례의 변론기일이 더 잡혀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한덕수 국무총리, 조지호 경찰청장 증인신문이 계획돼 있습니다.

정치인 체포 명단과 관련해 치열한 공방을 벌였던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도 윤 대통령 측 증인으로 다시 나옵니다.

윤 대통령 측에서 20일로 잡힌 변론 기일을 25일로 한 차례 늦춰달라 요청한 상태기 때문에, 헌재가 이를 받아들일 경우 증인신문은 2월 말쯤 마무리되고 선고는 그로부터 최소 2주 정도 뒤인 3월 중순이 지나야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조해언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