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시 서구 정서진 아라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성동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이 지난해 새롭게 지은 석탄 화력발전소 발전 용량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화석연료 제한’ 선언과 모순된 정책 행보라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핀란드 비정부기구(NGO)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와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GEM)가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중국은 지난해 94.5기가와트(GW)의 신규 화력발전 프로젝트에 착공했다. GEM은 30메가와트(MW) 규모 이상의 화력발전소 프로젝트를 전수 조사해오고 있는 싱크탱크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중단됐던 3.3GW 규모의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도 재개했다. 지난해 착공한 화력발전소 규모만 약 100GW에 준헤, 지난 10년 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의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 추이를 보면 발전량 기준 2015년 83.3GW로 정점을 찍고 2021년 32.1GW에 이를 때까지 대체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2년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이 새로 허가한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66.7GW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향후 몇 년 안에 많은 신규 발전소가 가동돼 전력 시스템에서 석탄의 역할이 더욱 공고해질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또 노후 석탄 화력발전소의 폐쇄 용량도 2020년 약 13GW에서 지난해 2.4GW로 급감해 퇴출 속도가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석탄 소비 증가를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한 시 주석과의 공약과 직접적으로 상충한다”고 비판했다. 시 주석은 2030년 이전에 탄소배출량이 정점에 도달하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석탄화력발전 프로젝트를 엄격하게 통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의 화석연료 확장 정책은 국제적인 흐름에도 역행한다. 지난달 GEM에 발표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 개발 중인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는 5개에 불과하다. 2015년과 비교해 10년만에 96%(140개) 감소했다. 개발 과정에 있는 5개 프로젝트도 건설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로 중간에 좌초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과 인도 등 OECD 미가입국이 석탄 화력발전 퇴출에 동참한다면, 2019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제안한 ‘석탄의 완전한 퇴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
보고서는 석탄화력발전소 신설이 중국의 에너지 전환 정책의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지난해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용량을 각각 890GW, 520GW로 늘려 에너지 전환을 선도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해 석탄발전 용량이 1200GW임을 고려하면 “에너지 전환이 진행되기보단 에너지를 추가하는 것에 가깝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의 수석 저자인 치친 CREA 연구원은 “석탄이 중국 전력 시스템에서 오랜 기간 큰 비중을 유지한다면 (탄소) 배출량을 빠르게 줄인다는 목표를 달성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홍근 기자 redroot@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