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8 (화)

우주청, NASA처럼 정체성 담은 새 '로고' 도입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서 상징 도입·활용 계획 등 검토

행안부와 정부상징 적용 제외 협의…순차 확대 적용 추진

뉴시스

우주항공청은 14일 제3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대한민국 우주수송·인공위성·우주과학탐사 추진전략 3건과 우주항공청 상징 도입 및 활용 계획 등의 안건을 검토했다. 사진은 새로 디자인된 우주항공청 상징(로고). (사진=우주항공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우주항공청이 NASA(미 항공우주국) 등 해외 우주항공기관과 같이 정체성과 독창성을 드러내기 위한 '상징(로고)' 디자인을 완성했다.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정부상징은 태극 기반의 디자인으로 통일돼있으나, 우주항공청은 정부상징 제외기관으로 인정받았다.

우주항공청은 14일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주재로 제3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우주개발 진흥법 시행령' 제6조에 근거해 설치됐다. 국가우주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국가 우주개발 관련 안건의 사전검토 등을 담당한다.

이번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는 대한민국 우주수송·인공위성·우주과학탐사 추진전략 3건과 우주항공청 상징 도입 및 활용 계획 등의 안건을 검토했다.

대한민국 우주수송·인공위성·우주과학탐사 등 추진전략 3건은 제1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발표한 '우주항공 5대 강국 실현'을 위해 우주항공청 우주수송·인공위성·우주과학탐사 등 주요 부문의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골자다.

재사용발사체와 궤도수송선(우주수송), 초고해상도 위성과 초저궤도위성·다층궤도 항법시스템(인공위성), L4(제4라그랑주점) 우주관측과 달 착륙선(우주과학탐사) 사업을 주요 '브랜드 사업'으로 선정했다. 이러한 브랜드 사업을 통해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역량 확보를 비롯한 핵심 전략목표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우주항공청 상징 도입 및 활용 계획도 논의됐다. 우주청은 기관의 정체성과 독창성을 드러내고, 국내·외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새로운 기관 로고를 도입·활용할 방침이다.

우주청은 지난해 9월부터 로고 제작업체를 선정하고, 디자인 및 우주항공 분야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내·외부 의견을 수렴한 후 로고 디자인을 완성했다.

우주청은 로고의 공식 활용을 위해 소관부처인 행정안전부와 정부상징 제외기관으로 협의를 완료했다. 이에 따라 우주청은 기념품·명함 등 주요 항목에 우선적으로 로고를 반영하고, 예산 상황과 유관부처와의 협의에 따라 기존 정부상징과 병행해 순차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상정된 안건 중 우주항공청 추진전략(안) 3건 등은 이번 실무위원회의 검토를 기반으로 향후 국가우주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뉴스페이스 시대를 실현하기 위해 우주시장을 이끌 민간영역을 발전시키고, 우리나라 미래 우주개발을 이끌어나갈 핵심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오늘 제시된 전략서와 사업계획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우주개발이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큰 도약을 이루기를 기대하며, 그 과정에서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위원들이 관심있게 지켜보고 도와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