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5 (화)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김상욱, 시당위원장 자진사퇴…"尹탄핵, 가장 자랑스런 결정"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울산시당위원장직 내려놔…"명예로운 불복종에 동참"
비상계엄 반대·탄핵 찬성 등 '당론' 거스르며 압박 받아와
"헌정질서 수호 선서한 국회의원으로서 최소한의 당위…후회 없다"
與 발의예정 '문형배 탄핵안' 반대 표명…"헌재 흔들기, 反법치주의"
노컷뉴스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우측). 윤창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표를 던진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이 14일 "다수의 명예로운 불복종에 동참하겠다"며 울산시당위원장직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변론 종결을 앞두고 여당이 연일 헌법재판소를 압박하는 상황에서, 김 의원은 비상계엄 반대와 탄핵 찬성은 당연한 '당위'이자 "인생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연 김 의원은 "저는 오늘 울산시당위원장직을 사퇴한다"며 "울산지역 6개 당협의 실질적 추대로 시당위원장이 되었으나, 더 이상 추대의 실질을 유지할 수 없기에 사퇴가 민주적이라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진 사퇴와 별개로 "품격 있는 참 민주 보수의 가치를 추구하고 실행해가는 용기와 소신, 그리고 행동은 더욱 굳건히 할 것임을 다짐한다"고 부연했다.

이른바 '언더73'(1973년생 이하 정치인)이라 불리는 친한(親한동훈)계 모임의 일원인 그는 앞서 12·3 내란사태 당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및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찬성하면서 당 지도부와 갈등을 빚어왔다.

김 의원도 이 2가지 결정으로 인한 당내 압박을 자신이 물러날 수밖에 없는 배경으로 들었다.

김 의원은 "그러나, 후회하지 않는다"고 했다. 또 "국회의원은 헌정질서를 수호할 것을 선서했고, 헌법상 헌정질서 수호 의무가 있다.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는 비상계엄을 해제하고 그 대통령을 탄핵하는 것은 국회의원이라면 정당을 떠나 행동해야만 하는 최소한의 당위이자 자격"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비상계엄 해제 및 탄핵 찬성은) 제 인생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결정이며 미래세대에 부끄럽지 않은 결정이었다"며 "옳음을 추구함에 값을 치러야 한다면 달게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3일 국회로 달려가면서 지닌 바람 역시 "제가 다치더라도 비상계엄을 해제할 수 있게, 그래서 국민들이 다치지 않게 해달라는 것"이었다고 했다. 만약 국회에서 신속하게 해제안이 의결되지 않았다면 수백 만 시민의 항의시위와 '유혈 진압'은 불보듯 뻔한 일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만약 그날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되지 않았다면 대한민국은 극단에 몰린 자들이 벌인 참혹한 사태에 어떤 모습일지 상상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김 의원 자신은 계엄을 은연 중에 옹호하고 '탄핵에 반대하는 당론'을 따를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정치하는 사람이라면 응당 지켜야 할 당위로는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국가를 지키며 국민을 지켜내는 것, 비상식과 거짓으로부터 상식과 옳음을 지켜내는 것"을 꼽았다. 이러한 가치들은 '진영의 문제'가 아니란 취지다.

아울러 "(저는 그저) 국가와 국민과 민주주의와 옳음과 상식에 따라 보수주의자에게 부여된 역사적 소명에 충실하려 했고 명예로운 불복종의 길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앞서 "포고령과 무장군인의 해산 명령에 굴하지 않고 앞을 막아선 시민들, 또 그 시민들이 다치지 않게 배려하고 부당한 명령에 불복종한 계엄군들, 정치금지 포고령에도 불구하고 국회로 달려온 선배 동료의원들" 등의 길을 따라 '명예로운 불복종'을 택했다고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차기 시당위원장과 집행부, 그리고 당원들께 간곡히 호소한다"며 "맹목적 진영논리와 사리사욕·당리당략이 아니라, 옳고 그름을 기준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치를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 여당에서 강승규 의원이 대표로 발의를 준비 중인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탄핵안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저는 (발의에) 참여하지 않을 계획"이라며 "헌재 판단을 흔들기하려는 목적, 헌재 권위를 훼손하려는 목적은 법치주의에 반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지금 (여권에서) 제시되는 논란은 (헌법재판관 등의) 치명적 결함이라기보다 (사실과 다른 의혹의) 확대·재생산, 다른 정치적 목적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며 "헌재의 입장이 나오면 그를 존중하고 따라서 사회적 안정을 이룩하는 것이 보수의 가치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