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복지과 김대홍. |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이자 일본의 초대 조선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 그의 행동은 당시 일본 제국주의의 압박에 시달리던 조선 민족의 울분과 국제사회에 조선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강력한 메시지였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테러 행위로 간주하며 안 의사를 압송하여 중국 뤼순 감옥에 가두었다.
이듬해인 1910년 관동도독부 지방법원에서 국제적 사건임에도 여섯 차례 졸속 재판 끝에 일제는 1910년 2월 14일 안중근 의사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안 의사는 3월 26일 순국하는 순간까지 “나는 테러리스트가 아니다. 나는 조국의 독립과 동양 평화를 위해 행동한 사람”임을 외치며 당당하게 쓰러져간 대한국인이었다.
“…내가 죽은 뒤에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 두었다가 우리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으로 반장(返葬)해다오. 내가 천국에 가서도 또한 마땅히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다…”, 죽어서도 조국 광복을 노래하신 안 의사의 유해는 현재까지 찾지 못하여 안타깝다. 조속히 고국으로 모셔올 수 있기를 기원한다. 안중근 의사의 묘는 서울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에 가묘가 조성되어 있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이 되는 해다. 안중근 의사뿐만 아니라 조국의 광복을 위해 목숨을 초개(草芥)같이 버리신 수많은 독립유공자와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기억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되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내 지역의 독립운동 관련 현충 시설을 찾아 독립운동가의 삶을 기억하는 것이 진정한 광복 80주년의 첫걸음은 아닐까?
조국의 광복을 위해 죽음도 마다하지 않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간 젊은 영웅이 사형선고를 받은 2월 14일, 결코 우리는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한다.
경남동부보훈지청 복지과 김대홍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jg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