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 |
(서울=뉴스1)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2025.2.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이 12·3 비상계엄을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출당·제명 여부를 더 이상 검토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상원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 징계 절차'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전 윤리위에서 했기 때문에 그 부분은 관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 위원장은 '윤 대통령 징계 절차 심의는 지난 윤리위에서 종결된 것인가'라는 질문에 "네. 거기서 한 번 종결됐다"며 "종결됐기 때문에 다시 징계요구가 있으면 그때 결정하고 기왕에 개시된 징계에 대해서는 종결됐기 때문에 징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했다.
취재진이 '징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인가'라고 재차 묻자 여 위원장은 "모른다. 이전 위원회의 결정 사항"이라고 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해 12월12일 윤리위원회를 소집했다. 윤리위는 윤 대통령 제명·출당 등 징계 개시에 대한 심의를 착수한 바 있다.
한 전 대표가 사퇴하고 '권영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들어선 뒤 윤리위도 새로 구성됐다. 여 위원장 말은 새로 구성된 윤리위에서는 한 전 대표 체제에서 진행된 윤 대통령에 대한 징계 논의를 이어가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날 열린 윤리위 회의는 권 비대위원장 체제가 출범하고 새 윤리위원장이 임명된 뒤 열린 첫 회의다. 회의는 약 3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현직 국회의원과 구청장, 기초의원, 기자 폭행 혐의로 피소된 최원식 인천 계양갑 당협위원장 징계 문제 등이 안건으로 다뤄졌다. 다만 탄핵 정국 속에서 당론을 어기고 탄핵에 찬성한 안철수, 김상욱 의원의 징계 여부 등은 논의되지 않았다.
여 위원장은 '구청장이나 현역 의원 징계 건은 어떤 내용인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정책이나 의사 표현에 관한 것"이라며 "의사 표현의 자유와 우리 당의 정체성, 주민 의견을 종합 판단해야 해서 쉽게 결정 내릴 수 있는 사안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정경훈 기자 straight@mt.co.kr 박상곤 기자 gone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