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전략적 제휴 체결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13일 진행된 컨퍼런스 콜에서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 상반기 카카오의 AI(인공지능) 서비스 '카나나' 출시 계획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는 앞서 방한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와 만나 카카오와의 전략적 제휴, 공동서비스 개발 소식을 알렸다.
먼저 유저의 AI 메이트가 될 '카나나'와 관련해 올해 상반기 중 서비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쇼핑과 로컬을 필두로 AI를 활용해 기존 사업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용자들은 초개인화된 선물이나 자기 구매 선물을 추천받을 것이고 이것이 카카오톡 내 커머스 전환율을 높이며 거래액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그는 "카카오톡과 오픈AI의 강점을 적극 활용해 한국 시장에서 AI를 대중화하겠다"면서 "이용자는 카카오의 모든 서비스에서 AI 에이전트와 소통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 |
이상호 카나나엑스 성과 리더가 지난해 열린 '이프카카오'(if kakaoAI 2024)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카나나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체적으로 카카오톡 내에서 발견의 맥락을 확장하고 채팅 목적형 트래픽에서 다양한 트래픽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유저의 요청 내용을 문맥까지 헤아려 재검색하는 수고를 줄이겠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 내 샵 검색과 새로운 형태의 AI를 결합해 새로운 수익 가치를 실현하겠다"면서 "이용자 체류시간을 20% 이상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단순히 검색하는데 쓰는 인기 B2C(기업대개인) AI는 있지만 롱런한 AI는 없다"면서 "대중화된 AI 서비스를 유지하려면 수익화가 필요한데 어렵다. 그러나 다양한 시도하면서 정답을 찾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nicks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