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 2797만 원, 구로 2881만 원…광진 1억 846만 원으로 최고, 강남·서초는 6천만 원대
![]()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서울에서 아파트 평(3.3㎡)당 분양가가 3천만 원 미만인 자치구는 두 곳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민간 아파트가 공급된 서울 19개 자치구 중 3.3㎡ 평균 분양가가 2천만 원대인 곳은 금천과 구로뿐이었다. 금천은 2797만 원, 구로는 2881만 원이었다.
3년 전인 2021년만 해도 3.3㎡ 평균 분양가가 3천만 원 미만인 자치구는 관악과 양천, 성북, 강동 등 8곳이었으나 2022년에는 강서와 중랑, 영등포 등 5곳으로 감소했고, 2023년은 구로와 은평, 도봉 3곳으로 더 줄었다.
반면, 2021년 서초 단 1곳뿐이던 3.3㎡ 평균 분양가 4천만 원 이상 자치구는 2022년 마포와 성동, 송파 3곳으로 늘었고, 2023년에는 양천과 용산, 광진 등 5곳으로 매년 증가를 거듭했다. 지난해는 이른바 '강남 3구'와 강동 등 10곳으로 전년 두 배로 급증했다.
지난해 3.3㎡ 평균 분양가는 광진이 1억 846만 원으로 가장 높았는데, 같은 해 1월 분양된 '포제스 한강'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포제스 한강은 당시 역대 최고 분양가인 3.3㎡당 1억 3770만 원에 공급됐다. 광진에 이어 강남(6935만 원)과 서초(6657만 원), 송파(5459만 원), 성동(5271만 원), 마포(5249만 원) 등 순으로 분양가가 높았다.
한편, 지난해 서울 전체 평균 분양가는 4820만 원으로 전년 3508만 원 대비 37.4%나 상승했다. 집값 고점이던 2021년 2799만 원과 비교하면 72.2% 폭등했다. 서울 평균 분양가는 지난해 평균 매매가(4300만 원)보다 520만 원 더 높아 2018년 이후 6년 만에 시세를 추월했다.
올해들어 현재까지 서울에서 이뤄진 민간 분양은 이달 초 서초구에 공급된 '래미안 원페를라'가 유일한데, 래미안 원페를라 3.3㎡당 분양가는 6941만 원이었다.
지난해 건설공사비지수가 2020년 대비 30% 이상 오른 데다가 환율 불안과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장벽 강화 등이 공사비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어 분양가 오름세가 한층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