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상반기 美상원 통화정책 보고
“현 기준금리 전보다 현저히 덜 긴축적”
지난달 FOMC서 밝힌 입장 다시 확인
“트럼프, 연준 인사 해임할 법적 권한 없어”
“관세가 인플레이션 유발 가능한 결과”
“美연방 예산 지속불가능” 재정적자 비판
“현 기준금리 전보다 현저히 덜 긴축적”
지난달 FOMC서 밝힌 입장 다시 확인
“트럼프, 연준 인사 해임할 법적 권한 없어”
“관세가 인플레이션 유발 가능한 결과”
“美연방 예산 지속불가능” 재정적자 비판
![]()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을 포함한 연준 인사들을 해임할 법적 권한이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파월 의장은 11일(현지시간) 연방 상원에서 열린 상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서 “연준의 현 통화정책 기조는 이전보다 현저히 덜 긴축적으로 됐고, 경제는 강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정책 기조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긴축 정도를 너무 빠르고 많이 줄이면 인플레이션 진전을 막을 수 있다”면서 “동시에 긴축 정도를 너무 느리고 적게 줄이면 경제활동과 고용을 약화할 위험이 있다”라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지난 2년간 상당히 둔화했다”면서도 “연준의 2% 장기 목표에 견줄 때 다소 높은 상황에 머물러 있다”라고 진단했다. 연준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작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했다.
파월 의장은 “경제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우리는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두 정책 목표를 최적으로 달성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만약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고 인플레이션이 2%로 지속해서 둔화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제한적인 정책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달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회견 때 밝힌 정책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당시에도 그는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위원을 해임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법적으로 분명히 허용되지 않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날 의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을 포함한 무역 정책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파월 의장은 무역 정책에 개입하는 것은 연준의 일이 아니라고 답변하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 정책을 만들거나 논평하는 건 연준의 일이 아니며 선출된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라면서 “우리의 일은 신중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이에 대응하고 통화정책을 수행해 우리의 임무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관세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느냐는 루벤 갈레고 상원의원(애리조나·민주)의 질문에는 “가능한 결과”라며 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인정했다.
미국의 재정적자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 연방 예산은 지속불가능한 경로에 있다”며 “지금이 이 일(재정적자 감축)을 시작할 수 있는 적기”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