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5 (화)

트럼프 변수에도…K-배터리 생존 승부처는 결국 '0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미 전기차 시장 상승세
트럼프 '상호 관세' 규모 등 변수


더팩트

1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2255억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적자를 냈다. 삼성SDI도 2567억원의 영업손실을 보이며 7년 만에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황지향 기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실적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국내 배터리 3사가 처음으로 동반 적자를 기록하며 위기감이 커졌지만,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는 북미 전기차 시장이 실적 회복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2255억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적자를 냈다. 삼성SDI도 2567억원의 영업손실을 보이며 7년 만에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SK온은 359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 3분기 흑자 전환 이후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배터리 업계가 실적 부진을 겪는 주된 원인은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캐즘)와 배터리 원자재 가격 하락이다. 그러나 북미 시장 내 전기차 판매 증가와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혜택 확대는 실적 개선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SK온은 4분기 AMPC 수혜금이 813억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34% 증가했다. 김경훈 SK온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6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북미 신규 완성차 공장용 배터리 출하 본격화 및 이에 연계한 AMPC 수혜 증가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삼성SDI 또한 4분기 AMPC 수혜금이 전 분기 대비 142% 증가한 249억원으로 집계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설 투자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8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신고했다. 하지만 여기에 3조7450억원의 자금이 몰려 이차전지 업종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팩트

삼성SDI도 2567억원의 영업손실을 보이며 7년 만에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SK온은 359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 3분기 흑자 전환 이후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미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는 배터리 기업들의 실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는 2025년 미국 전기차 시장이 2024년 대비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16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지난 1월 현대차·기아, 포드, 혼다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량도 증가했다. 포드는 5666대를 판매해 역대 최고 1월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차 역시 아이오닉 5 판매가 전년 대비 54% 증가하는 등 두 자릿수(14.6%)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북미 시장의 성장세에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은 배터리 업계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과 함께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에도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정부의 반친환경차 정책의 강도와 '상호 관세' 규모 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지만 북미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저가형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배터리 수요 역시 꾸준히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전기차 시장의 성장 흐름 자체가 꺾이진 않을 것"이라며 "특히 중저가형 전기차의 확산이 가속화되면서 배터리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 기업들은 비용 절감과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ya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