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2%→1.6% 대폭 하향
일자리도 '직격탄'…인력사무소마저 문 닫아
[앵커]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우리 경제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국책연구기관까지 올해 성장률이 1.6% 수준에 그칠 걸로 보이고, 더 나빠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현장에선 불황을 온몸으로 체감한다는데, 이상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내렸습니다.
지난해 11월 2%로 내린 데 이어 오늘(11일)은 1.6%로, 0.4%P를 한꺼번에 낮춰 잡았습니다.
한국은행과 비슷하지만 국제통화기금이나 우리 정부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내란 사태로 인한 정국 불안 탓에 민간소비 전망치는 전보다 더 나빠졌고, 그나마 경제를 떠받들고 있던 수출마저 트럼프발 통상전쟁 여파에 더 쪼그라들 걸로 보입니다.
우리 경제 양축이 모두 흔들리는 겁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와 자동차 관세까지 언급한 만큼 성장률 추가 하향 조정 가능성까지 커졌습니다.
[정규철/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 : 트럼프 정부가 들어오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갈 것으로 예상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불확실성이 너무 커져 버린…]
내수 가운데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곳은 건설 현장입니다.
수주는 물론 투자마저 말라붙으면서, 현장으로 인력을 보내는 인력사무소까지 문을 닫을 지경입니다.
[A씨/인력사무소 운영 : 분양들이 안 되니깐 임금이 막 자꾸 체납되는 거예요. 노란색, 파란색으로 색칠해 놨는데. 수금이 안 된 곳이에요. 자꾸 이러다 보니까 업체들이 이제 문 닫는 경우가 많아요. 제 주위에도 지금 문 닫는 인력사무소가 한 서너 곳 돼요.]
이같은 경제 침체에 지난해 16만 명이었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10만 명으로 쪼그라들 전망입니다.
[A씨/인력사무소 운영 : 작년만 해도 사람이 없어서 인원이 부족해서 다른 인력사무소에다가도 지원받고 막 그랬거든요. 그런데 올해 같은 경우는 (일을 못 하고) 20~30%는 다 집에 들어가요.]
이런 가운데 KDI는 추가경정예산 편성 대신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영상취재 이현일 / 영상편집 유형도 / 영상디자인 한영주]
이상화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