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특히, 이번 관세에 예외나 면제가 없다고 밝혀, 우리 업계와 수출도 직격탄을 맞을 전망입니다.
보도국 국제 뉴스 담당 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치동 기자.
[기자]
전날 예고한 대로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퍼센트 관세를 매기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특히, 이번 조치에 대한 예외나 면제는 없을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관세부과 대상국의 보복 가능성에는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에 복귀하자마자 관세 전쟁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주변국인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중국을 상대로 선전포고한 바 있는데요.
다른 나라들로 확전,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전면전 수순에 들어선 셈입니다.
[앵커]
관련해서 전망도 해주시죠.
[기자]
철강과 알루미늄은 모두 한국이 대미 수출 규모 면에서 4위 안에 드는 품목입니다.
다만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조치는 잠시 유예된 상태입니다.
한국을 비롯해 베트남, 대만,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이번 조치의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게 주요 외신의 분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인 2018년에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습니다.
당시엔, 일부 주요 교역국에는 협상을 통해 무관세 수출 쿼터제를 허용하기도 했는데요.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쿼터를 적용해, 일정량의 수출품에 대해서는 관세 면제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백악관에 복귀한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더는 면세 혜택을 받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는데요.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과 반도체가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역시 관건은 한미 FTA가 얼마나 보호막이 돼 줄 거냐일 텐데요
최근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한 트럼프의 조치로 볼 때, 일단 고율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추후 협상으로 풀어볼 여지도 있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지금까지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
#트럼프 #관세 #철강 #알루미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특히, 이번 관세에 예외나 면제가 없다고 밝혀, 우리 업계와 수출도 직격탄을 맞을 전망입니다.
보도국 국제 뉴스 담당 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치동 기자.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간 10일 결국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대전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전날 예고한 대로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퍼센트 관세를 매기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특히, 이번 조치에 대한 예외나 면제는 없을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관세부과 대상국의 보복 가능성에는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산 수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같은, 이른바 상호 관세도 내일이나 모레 발표하겠다고 재확인했습니다.
백악관에 복귀하자마자 관세 전쟁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주변국인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중국을 상대로 선전포고한 바 있는데요.
다른 나라들로 확전,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전면전 수순에 들어선 셈입니다.
[앵커]
당장 우리 업계와 대미 수출 전반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는데요.
관련해서 전망도 해주시죠.
[기자]
철강과 알루미늄은 모두 한국이 대미 수출 규모 면에서 4위 안에 드는 품목입니다.
또 다른 주요 수출국인 캐나다, 중국, 멕시코와는 말씀드린 대로 이미 관세 전쟁을 선포한 상태이고요.
다만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조치는 잠시 유예된 상태입니다.
한국을 비롯해 베트남, 대만,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이번 조치의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게 주요 외신의 분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인 2018년에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습니다.
당시엔, 일부 주요 교역국에는 협상을 통해 무관세 수출 쿼터제를 허용하기도 했는데요.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쿼터를 적용해, 일정량의 수출품에 대해서는 관세 면제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백악관에 복귀한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더는 면세 혜택을 받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는데요.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과 반도체가 직격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역시 관건은 한미 FTA가 얼마나 보호막이 돼 줄 거냐일 텐데요
최근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한 트럼프의 조치로 볼 때, 일단 고율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추후 협상으로 풀어볼 여지도 있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지금까지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
#트럼프 #관세 #철강 #알루미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