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드 스케이팅 男 팀 스프린트 은메달
김준호 500m·강동훈 스노보드 빅에어 銅
한국은 지금까지 금메달 11개와 은메달 10개, 동메달 9개를 따내 금메달 21개, 은메달 18개, 동메달 15개를 수확한 개최국 중국에 이어 종합 2위를 유지했다. 3위는 금메달 4개, 은메달 4개, 동메달 9개의 일본이다.
김준호와 차민규, 조상혁은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오벌에서 열린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 중국(1분19초22)에 이어 2위(1분20초48)로 달려 은메달을 합작했다. 동메달은 일본(1분20초72)에 돌아갔다.
팀 스프린트는 3명의 선수가 400m 트랙을 3바퀴 도는 경기다.
![]() |
10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스케이팅 오벌에서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팀 스프린트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김준호, 차민규, 조상혁(왼쪽부터)이 시상대에 서 있다. [사진 제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준호는 앞서 열린 남자 500m에서 동메달을 땄다. 35초03의 기록으로 중국 가오팅위(34초95), 일본 모리시게 와타루(34초97)에 이어 3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김준호와 함께 출전한 김태윤은 8위(35초22), 조상혁은 10위(35초26)를 기록했다.
김준호는 지난 8일 100m에서도 동메달을 따 이번 대회에서 모두 메달 3개를 얻었다.
여자 3000m에서는 메달이 나오지 않았다. 박지우가 5위(4분16초82)로 최고 성적을 냈다. 강수민은 7위(4분20초50), 정유나는 11위(4분27초68)에 올랐다.
스노보드 동메달의 주인공은 빅에어에 출전한 고등학생 강동훈이다. 강동훈은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결선에서 158.75점을 얻어 중국의 양원룽(193.25점)과 장신제(160.25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강동훈은 8일 남자 슬로프스타일에 이어 이번 대회 두 번째 동메달을 수확했다.
한국 스노보드는 2006년생 동갑내기인 이채운 강동훈이 슬로프스타일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목에 걸었고, 강동훈이 빅에어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빅에어는 하나의 큰 점프대를 도약해 공중 기술을 선보이는 경기이며, 슬로프스타일은 다양한 기물과 점프대로 구성된 코스에서 높이, 회전, 기술, 난도 등의 기준에 따라 채점해 순위를 정하는 종목이다.
![]() |
스노보드 빅에어에서 동메달을 딴 강동훈 [사진 제공=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자 빅에어에 출전한 유승은은 119.25점으로 4위에 올라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 최서우는 5위(85.25점)를 기록했다.
크로스컨트리 남자 10㎞ 프리에서는 변지영이 11위(22분16초5)로 한국 선수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고, 정종원(22분26초1), 이건용(22분55초4), 이준서(22분56초3)가 각각 12∼14위에 자리했다.
금메달 후보로 꼽히는 여자 컬링 대표팀은 핑팡 컬링 아레나에서 열린 라운드로빈 경기에서 태국을 14-0으로 완파했다. 전날 대만과 일본을 꺾은 여자 컬링 대표팀은 예선 3연승을 달렸다.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하얼빈 아이스하키 아레나에서 열린 조별 예선 A조 최종 5차전에서 3회 연속 우승에 도전하는 강호 카자흐스탄에 1-2로 역전패했다.
한국은 이번 예선에서 4승(연장 1승 포함) 1패로 승점 11을 기록, 5전 전승의 카자흐스탄(승점 15)에 이어 조 2위로 8강에 올랐다. 8강 경기는 11일 시작된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