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매출은 17조8701억원…전년비 0.1%↓
![]() |
CJ제일제당 CI.(사진=CJ제일제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김민성 기자 = CJ제일제당이 지난해 해외 매출 확대에 힘입어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매출액 17조8710억원, 영업이익 1조323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0.1%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26% 늘었다.
4분기만 놓고 살펴보면 매출액은 4조4750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9.2% 늘어난 2199억원을 달성했다.
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지난해 실적은 매출 29조3591억원, 영업이익 1조55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1.2%, 20.2% 늘어난 수치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식품사업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0.8% 늘어난 11조 3530억원을 거뒀지만 영업이익은 5.3% 줄어든 6201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식품사업 매출이 내수 소비 침체와 원가 부담을 겪으며 5조 7716억 원으로 1.8% 감소했다.
다만 햇반 등 주요 가공식품의 견조한 성장과 온라인 채널 매출 확대가 사업의 부진을 일부 상쇄했다.
해외 식품사업은 전년 대비 3.6% 늘어난 매출 5조 5814억 원(+3.6%)을 기록했다.
전체 식품 매출 중 49.2%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지난해 주력한 'K-푸드 신영토 확장'이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북미, 유럽, 호주 등 주요 권역에서 성장을 이어갔고, 글로벌전략제품인 김치(+38%), 냉동밥(+22%), 만두(+18%)의 해외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북미 지역은 4조 7138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북미 시장 점유율 1위인 비비고 만두는 2위 브랜드와 3배 이상 차이 나는 선두를 유지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4조 2095억원, 영업이익 3376억원을 거뒀다.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1.8%, 34.3% 증가했다.
트립토판 등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와 스페셜티 품목 매출 증가가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특히, 알지닌,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등 고부가가치 품목인 스페셜티 제품의 매출 비중은 연간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인 21%를 기록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2조 3085억원의 매출과 74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주요 사업국가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축산 판가 상승 영향과 생산성 개선 등 제조원가 안정화 노력이 연간 영업이익 흑자 전환으로 이어졌다.
한편 지난해 CJ제일제당은 당기순손실 152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유무형자산 평가에 따른 영업 외 손실이 발생했다"며 "현금 유출은 없으나 보수적으로 회계처리를 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ms@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