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4 (월)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대신 "중국발 관세 위협받는 유가, 스몰딜도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정부가 이른바 '트럼프 관세' 맞대응 차원에서 미국산 원유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지만, 이러한 보복 조치가 장기화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중국으로선 대체재 수급의 어려움 등으로 비용 부담이 누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중 간 스몰딜 성사 시 유가 재반등 가능성이 기대된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10일 '중국발 관세 위협받는 유가, 그럼에도 기대되는 스몰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 연구원은 앞서 중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10% 대중국 관세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이날부로 미국산 원유와 LNG에 각각 10%,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사실을 언급하며 "미국의 2대 원유 수입고객인 중국의 보복은 분명 수요에 악재다. 이로 인한 불확실성이 서부텍사스산원유(WTI)-두바이유 가격 스프레드 하락을 통해 반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시아경제

WTI-두바이 가격 스프레드


다만 최 연구원은 이번 보복이 장기화할 가능성은 다소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대체재의 수급이 타이트해질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라며 미 재무부가 지난 6일 이란산 원유에 대한 수출 네트워크 제재를 받았다는 점을 짚었다. 그간 중국계 민간 정유사들이 조 바이든 행정부의 느슨한 제재를 이용해 이란산 원유를 90% 조달해온 만큼,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최 연구원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의 제재로) 염가의 러시아산 중질유 역시 조달받기 어려워지고 있다"며 "러시아산 수입을 확대했던 인도가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중동산 원유 입찰에 참여했다는 것은 조달받기 어려운 현실은 반증한다"고 평가했다. 이 가운데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현 감산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사우디 아람코는 3월 아시아향 공식판매가격(OSP)을 대폭 인상했다.

최 연구원은 "중국 내부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중국 정부의 관세 위협은 장기화되기 어렵다"며 지방정부 양회에서 정책 우선순위를 내수 확대로 전환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위협이 고조된 상황에서 순수출만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그는 분석했다.

특히 최 연구원은 "문제는 재고"라며 "중국의 원유 재고는 과거 5년 동기간 레인지를 하회 중"이라며 "재고충당(Restocking) 시즌을 앞두고 점점 어려워지는 대체재 수입과 추가 부양의 필요성, 대내외 수급 상황을 고려하면 힘들어지는 것은 중국"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장기적 관점에서 미·중 갈등은 계속 격화되겠지만, 단기적으로 지금의 중국은 미국과의 충돌을 최소화해야 하는 처지"라며 "그러한 점에서 스몰딜 성사 시 유가 재반등 가능성을 열어둘 것"을 권고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