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8 (화)

[기자수첩]제2의 목사방, 반드시 잡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찰청이 지난 8일 텔레그램 성범죄 조직 '자경단'을 이끈 김녹완(33)의 신상을 공개했다. 올해 첫 피의자 신상 공개다. 김녹완 등 조직원 14명이 5년간 저지른 이번 범죄의 피해자는 234명이다. 텔레그램을 통해 벌어진 사이버 성범죄 중 피해 규모가 역대 최대다. 미성년자 피해자는 159명으로 68%에 달했다. 피해자 10명 중 4명은 남성이었다. 대부분 여성을 타깃으로 했던 기존 사이버 성범죄와는 다른 양상이다. 경찰이 "대상이 다양해졌고 무차별적"이란 설명을 달았던 이유다.

김녹완은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겉모습과 달리 악랄한 범행 행태를 보였다. 자신을 '목사'로 부르며 집사, 전도사, 예비전도사 등 계급을 두는 조직 체계를 갖췄다. 지인 딥페이크 합성물 등을 미끼로 피해자를 협박해 조직원으로 포섭하고, 조직원이 또 다른 피해자를 끌어들이는 피라미드 시스템을 구축했다. 전국을 돌며 미성년자 여성 10명을 강간하고, 자신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며 조직원끼리 유사강간 등 성적 학대를 강제하는 엽기적인 행각도 벌였다. 피해자뿐 아니라 조직원까지 자신의 성적 욕망 해소를 위한 도구로 활용했다.

2019년 불거진 N번방 사건은 텔레그램을 매개로 한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확산한 계기였다. 당시 국회는 N번방 방지법 입법을 단행해 사이버 성범죄 처벌 강화와 검색, 메신저, 커뮤니티 등 부가통신사업자의 성착취물 유통 방지 의무를 대폭 강화했다. 하지만 그릇된 성적 욕망을 해소하기 위한 텔레그램 사이버 성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지인의 불법합성물을 제작해 유포한 서울대 N번방 사건이 터졌다.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을 악용한 성범죄는 이 순간에도 벌어지고 있다. 특히 계정 추적이 매우 어렵다고 알려진 텔레그램이 주요 범행 도구로 악용된다. 자경단 사건에서 주목할 점은 경찰이 텔레그램으로부터 범죄 관련 자료 회신을 끌어낸 최초 사례라는 사실이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미국 국토안보수사국 등 해외 수사기관의 협력도 이뤄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내 사정기관과 텔레그램의 원활한 수사 협조 체계가 구축되길 바란다. 텔레그램에서 저지른 성범죄 행위가 반드시 밝혀지고, 무거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인식이 퍼져야 한다.

머니투데이



서진욱 기자 sjw@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