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수)

“대왕고래, 실패 아니라 과정”이라는 정부…오징어·명태 등 나머지 6곳도 시추 계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가스전 사업’ Q&A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채취 시료 토대로 가능성 재분석
마귀상어 등 추가로 포함될 수도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의 1호 국정 브리핑 이후 많은 논란을 불러왔던 동해 심해 유전 탐사, 일명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시추가 종료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일 “대왕고래를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 보기 어렵다”고 발표했지만 논란은 더 커지고 있다.

정부와 한국석유공사, 전문가 등의 평가를 종합해 논란과 함께 9일까지 진행 경과를 문답 형태로 정리했다.

- 대왕고래 탐사시추는 실패인가.

“정부와 석유공사는 ‘실패’가 아니라 ‘과정 중 하나’로 보고, 이번 탐사시추에서 후속 시추로 이어갈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석유공사는 ‘석유·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양질의 사암층, 유기물을 포함한 셰일층의 발견 등 동해 분지에 석유·가스전이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그럼 실패가 아닌가.

“당연히 1차 공이었던 대왕고래 탐사시추는 실패로 봐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주목적이 탄화수소(석유·가스 등을 구성하는 유기화합물) 부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데, 경제성 있는 규모의 탄화수소를 발견하지 못해서다. 익명을 요구한 석유업계 전문가는 ‘시험에서 떨어진 걸 다음 도전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보려면 볼 수도 있겠지만, 경제성 있는 발견에 실패한 건 분명하지 않냐’라고 말했다.”

- 이제 대왕고래는 어떻게 되나.

“대왕고래는 이번에 시추한 유망구조(석유·가스가 묻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유망한 형태의 지하 구조) 중 하나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이번 탐사시추에서 채취한 시료를 토대로 나머지 6개 유망구조의 가능성을 재분석해 해외 투자 유치로 후속 시추를 이어갈 계획이다.”

- ‘오징어’ ‘명태’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

“동해 심해 유망성 평가를 진행한 미국의 자문업체 액트지오는 2023년 동해 심해에 유망구조 7개가 있다고 보고했다. 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유망구조가 대왕고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머지 6개 유망구조 중에는 오징어와 명태로 부르는 유망구조도 있다.”

- 그럼 이제 오징어 프로젝트나 명태 프로젝트가 되나.

“정부와 석유공사는 이번 사업을 ‘대왕고래 프로젝트’라고 부르는 바람에 대왕고래 시추 실패가 마치 전체 사업에 경제성이 없는 것처럼 알려졌다며, 이후 오징어나 명태를 시추하더라도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이라는 공식 명칭을 쓸 방침이다. 다만 천연가스만 있는 가스전보다는 원유를 포함하는 ‘유전’이 더 적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 ‘마귀상어’도 시추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나.

“마귀상어는 액트지오가 지난해 추가로 맡은 평가에서 도출한 유망구조다. 액트지오는 기존 7개 외 마귀상어를 포함한 유망구조 14개가 동해 심해에 더 있다는 보고서를 지난해 말 석유공사에 제출했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전문가 검증 뒤 유망구조 규모나 수가 바뀔 수 있다는 입장이다. 마귀상어란 이름도 부정적 어감이 있어 바뀔 수 있다고 한다.”

김경학 기자 gomgo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