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린샤오쥔(오른쪽)이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결승에서 마지막 2바퀴를 남기고 미끄러지고 있다. 2위를 달리던 박지원이 여유있게 결승선을 통과해 한국 선수단에 첫 금메달을 안겼다. [신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조범자 기자]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혼성 2000m 계주에서 한국 선수단에 첫 금메달을 안겼다. 중국으로 귀화한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한국 금메달의 도우미가 됐다.
박지원, 김태성, 최민정, 김길리로 구성된 혼성 대표팀은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결승에서 2분41초534의 기록으로 카자흐스탄(2분42초258), 일본(2분44초058)을 제치고 우승했다.
한국 선수단 첫 메달이자 첫 금메달이다. 이번 대회 신설 종목 혼성 계주의 초대 챔피언으로도 기록됐다. 예선에서 뛴 김건우, 장성우, 심석희, 노도희도 금메달을 받는다.
한국은 첫 주자 최민정이 1위로 출발한 뒤 줄곧 선두를 지켰고 그 뒤를 중국이 추격하는 패턴이 이어졌다. 최민정이 결승선 8바퀴를 남기고 판커신에게 역전을 허용해 2위로 내려앉은 한국은 이후 중국을 바짝 추격했다. 중국은 좀처럼 한국에 인코스를 내주지 않으면서 줄곧 선두를 지켰다.
하지만 결승선 2바퀴를 남기고 예기치 않은 일이 벌어졌다. 선두를 달리던 마지막 주자 린샤오쥔이 결승선 2바퀴를 남기고 곡선 주로에서 중심을 잃고 스스로 넘어진 것. 2위를 달리던 박지원이 침착하게 레이스를 이어가며 결국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중국은 동메달도 따지 못했다.
공교롭게도 린샤오쥔이 한국 금메달을 도운 모양새가 됐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1500m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한국 쇼트트랙 간판선수로 활약한 린샤오쥔은 2019년 대표팀에서 불미스러운 일로 자격정지 징계를 받은 뒤 2020년 중국으로 귀화했다. 이번 대회는 귀화 후 첫 출전한 종합대회다.
린샤오쥔은 최근 중국국제텔레비전(CGTN)이 공개한 인터뷰에서 “8년 만에 동계 아시안게임이 열리는 데다 제가 유일하게 메달이 없는 대회라 참가하고 싶었다.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가장 기대되는 종목에 대한 질문에 “솔직히 단체전이다. 남자 5000m 계주와 혼성 2000m 계주가 가장 욕심난다”면서 중국에 계주 금메달을 안기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한국 선수들과 첫 맞대결에서 의욕이 앞선 탓인지 긴장한 탓인지, 마지막 순간 결정적 실수를 범하며 고개를 떨궜다.
![]() |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결승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김길리, 박지원, 김태성이 태극기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한국은 압도적인 실력으로 3년 전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악몽을 떨쳐냈다.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는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논란이 일었던 종목이다. 당시 개최국 중국은 서로 (배턴) 터치를 하지 않아 실격 사유가 충분했는데도 심판은 오히려 미국에 페널티 판정을 내리는 등 노골적인 편파 판정으로 이 종목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대표팀은 이후 남자 1000m에서 황대헌, 이준서가 페널티 판정을 받아 탈락하는 등 편파 판정의 희생양이 됐다. 네티즌들은 ‘블루투스 터치’ ‘눈 뜨고 코베이징’ 등 조어로 중국을 비판했고 외신들도 편파판정 문제를 다루면서 파문이 일파만파 커졌다.
하지만 이번 아시안게임에선 첫 경기인 혼성 계주에서 중국의 자멸로 판정 논란의 빌미가 애초 제거되면서 한국 계주팀 전원은 월등한 실력으로 당당하게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