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7 (월)

이슈 검찰과 법무부

김정숙 여사 '샤넬·타지마할' 의혹…檢이 밝힌 13개월의 기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 '무혐의' 결론

"샤넬 재킷은 시제품…착용후 즉시 반납 확인"

"인도 방문은 공식 외교…모든 절차 적법 진행"

"수영강습·기업 오찬 의혹, 부당지시 정황 없어"

檢, 불기소 처분…해외공작비 의혹 수사는 계속

[이데일리 성주원 기자] 2022년 3월, 인천국제공항. 국립한글박물관이 공개한 한 벌의 샤넬 재킷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하지만 이는 곧 폭풍의 시작이 됐다. “이 재킷이 (문재인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정숙 여사가 착용했던 그 재킷이 맞나요?”라며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온라인을 중심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이데일리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2018년 10월 프랑스 순방 당시 한글을 모티프로 한 샤넬 재킷을 대여해 착용한 바 있다. (사진=뉴시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8년 10월, 프랑스 국빈 방문 당시 김정숙 여사가 입었던 한글 패턴의 트위드 재킷. 우아한 디자인과 한글이라는 독특한 소재의 만남으로 화제가 됐던 그 옷이 지금 눈앞의 재킷과 달라 보인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청와대 특활비로 재킷을 구매해 개인 소장한 것 아닌가?”라며 의문이 제기되는 등 의혹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2022년 여름, 또 다른 의혹이 불거졌다. 2018년 11월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둘러싼 논란이었다.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혼자 인도에 갔다”, “인도 정부의 초청도 없이 스스로 초청을 요청해 타지마할을 방문했다”, “사실상 관광인데 예비비 4억원을 쓴 것 아니냐”는 등의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이같은 의혹들은 정치권에서 특히 뜨거운 감자였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김정숙 여사의 샤넬 재킷’을 맞불 소재로 꺼내들었다.

2023년 12월, 상황은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국민의힘 소속 이종배 서울시의원이 김 여사를 정식으로 고발한 것. 여기에는 두 가지 의혹이 더해졌다. 대통령경호처 경호관에게 개인 수영강습을 받았다는 것, 그리고 2019년 6월 삼성전자(005930) 등 10여개 기업 고위임원들을 청와대로 불러 오찬을 주재했다는 것이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가 수사에 착수하면서 진실 찾기가 시작됐다. 수사팀은 외교부와 문체부 공무원들을 불렀고, 전 주인도대사와 한글박물관장도 조사했다. 특히 샤넬 재킷 의혹과 관련해서는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까지 동원해 재킷의 동일성을 검증했고, 김 여사의 의상을 담당했던 전직 청와대 행정요원들까지 조사했다.

그리고 2025년 2월 7일, 13개월의 진실게임이 마침내 종지부를 찍었다.

검찰에 따르면 논란이 된 샤넬 재킷은 2015/2016 서울 크루즈 컬렉션의 시제품으로 확인됐다. 김 여사는 프랑스 방문 당시 이를 하루 무상으로 대여받았을 뿐이었고, 사용 후 즉시 반납했다. 이후 샤넬 측이 동일 모델을 선물하려 했으나 청와대가 사양했고, 결국 양측 협의 끝에 국립한글박물관으로 기증됐다. 박물관의 재킷이 달랐던 이유는 시제품 특성상 기증이 불가능해 새로 제작됐기 때문이었다.

이데일리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18년 11월 7일 당시 영부인 자격으로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의 타지마할을 방문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외유 의혹이 제기됐던 인도 방문 역시 검찰 수사 결과 공식 외교 일정으로 확인됐다.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의 일환으로, 인도 측이 디왈리축제와 허왕후 기념공원 착공식에 대통령이나 최고위급 사절단의 참석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45명의 문화협력대표단이 꾸려진 것이었다. 대통령 전용기로 알려진 공군 2호기 사용도 적법했다. 검찰 조사 결과, 이 비행기는 ‘대통령 전용’이 아닌 ‘정부 전용’ 성격이었으며, 김 여사는 공군본부 승인 등 필요한 모든 절차를 거쳐 이용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통령경호처 경호관의 개인 수영강습 의혹 역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 고위임원 오찬 주재 의혹도 검찰 조사 결과, 가족·아동 관련 공헌기업 대표들을 격려하는 자리였으며 참석은 전적으로 자율적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지난 7일 모든 의혹에 대해 ‘혐의없음’ 결론을 내리고 불기소 처분했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가 수사 중인 ‘옷값 해외공작비 대납 의혹’이라는 새로운 수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