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IA 김도영이 강습타구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사진 | KIA 타이거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한화 김서현이 불펜 피칭 후 친형 김지현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 한화 이글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제2의 김도영(KIA) 김서현(한화) 김택연(두산) 찾기에 나선다.
고교 선수들의 데이터를 직접 측정해 DB화 한다. KBO는 이달 26일 오후 3시까지 고교 선수 바이오메카닉스 데이터 시스템 구축과 운영 업체를 입찰로 선정한다. 참가를 원하는 업체는 조달청이 운영하는 나라장터에 고지된 입찰공고를 확인해 제안서를 KBO 전력강화팀으로 방문접수하면 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단체지원금으로 시행하는 사업이므로, 매년 입찰을 통해 선정할 수밖에 없다. 이번 입찰로 선정된 업체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DB를 구축하고, 선수 분석과 기록실 제작 등 전반적인 데이터 시스템을 운영하게 된다.
![]() |
KBO가 올해 시행한 넥스트레벨 트레이닝 캠프에 참가한 학생이 바이오메카닉스 데이터를 측정하고 있다. 사진 | KBO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인 드래프트에서 고졸 신인을 주로 선발하는 시류와 고교 유망주를 집중 관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향후 KBO리그 통합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면, 고교 때부터 선수들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넥스트-레벨 트레이닝 캠프와 연계한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까지 완성하면, KBO리그뿐만 아니라 한국 야구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KBO가 지난해 개최한 넥스트레벨 트레이닝 캠프에 참가한 학생 선수들이 티배팅 하고 있다. 사진 | KBO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관계자는 또 “그동안 KBO의 아마추어 지원사업은 팀 창단에 초점을 맞췄다. 창단지원금 등으로 10년 이상 투자해 양적 성장은 어느정도 이뤘다고 평가한다. 이제는 내실을 다질 때”라고 강조했다.
![]() |
KBO가 지난해 개최한 넥스트레벨 트레이닝 캠프에 참가한 학생 선수들이 튜빙을 활용한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 KBO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교적 장기 프로젝트로 보이지만, 첫발을 떼는 게 중요하다. 사업을 확장할 요소가 많아서다.
![]() |
KBO가 개최한 넥스트레벨 트레이닝 캠프 참가자가 바이오메카닉스 데이터를 측정하고 있다. 사진 | KBO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BO 핵심 관계자는 “바이오메카닉스는 일종의 동작분석이어서 트래킹데이터와는 차이가 있다. 일단 고교 선수들의 성장과정을 확인하고, 올바른 훈련방법을 넥스트레벨 트레이닝 캠프를 통해 알려줘서 잘 성장하도록 돕는 게 목표”라며 “국내에도 바이오메카닉스 관련 업체가 많아서 현 단계에서는 해외유출 등에 관한 이슈는 없다”고 귀띔했다.
그러나 동작분석을 바탕으로 훈련한 뒤 성과를 측정하려면 트래킹데이터를 빼놓을 수 없다. 장기적으로 보면 연계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라는 의미다. KBO 관계자 역시 “장기적으로는 연계해 KBO 데이터센터를 통해 관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KBO는 2022년 예비 중학생과 중학교 2학년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넥스트 레벨 트레이닝 캠프에서 바이오메카닉스 데이터를 측정한 바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BO 허구연 총재는 “한국 야구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KBO가 어떤 역할을 해야할지에 관해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다. 국제경쟁력은 리그 경쟁력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KBO는 바이오메카닉스 구축 업체 선정에 앞서 6일부터 이틀간 KBO 야구센터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선수 40명(투수 16명, 타자 24명)을 대상으로 마커리스 시스템을 활용해 데이터를 측정했다.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