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사용에는 영향 없다는 전망
![]() |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 국가들이 중국산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딥시크 앱은 제한돼도 오픈소스는 영향이 없다는 전망이 중국 현지 언론에서 나왔다.
텐센트테크, 딥시크 해외 금지된 사례 분석
중국 텐센트뉴스 산하 텐센트테크놀로지는 7일 '딥시크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딥시크 해외 금지된 사례들을 전했다.
사용이 제한되는 대상은 딥시크 앱일 뿐이고 빅테크 기업들이 채택하는 딥시크의 오픈소스는 별도로 존재한다고 짚었다.
실제 딥시크라 부르는 건 두 가지 제품인데 개발자 도구 '깃허브(Github)'의 오픈소스 코드 라이브러리에 있는 딥시크와 이를 완전히 구현한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이다. 세계적으로 열풍을 불고 온 딥시크는 후자인 딥시크 앱이다.
딥시크는 깃허브에 자사 생성형 AI 모델들인 딥시크-V2, 딥시크-V3, 딥시크-R1 등의 오픈소스를 공개해왔다.
딥시크의 모델은 오픈AI의 약 5% 비용으로 개발된 점뿐 아니라 오픈소스 방식을 채택,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도 주목받았다.
엔비디아·MS 등 美 빅테크도 딥시크 오픈소스 채택
지난달 20일 최신 모델인 딥시크-R1을 출시한 뒤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면서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AMD,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세계 5대 클라우드 기업이 앞다퉈 딥시크 오픈소스를 채택했다. 중국에서는 화웨이와 텐센트, 바이두, 알리바바 등이 딥시크 오픈소스를 지원 중이다.
중국 IT 1인 미디어 카오즈는 "어떤 정부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배포를 제한할 만큼 어리석지 않을 것"이라며 "게다가 사용을 제한한 대상은 일반인이 아닌 공무원"이라고 말했다.
텐센트테크는 딥시크 개발비용 논란 등에도 설명을 붙였다.
딥시크는 약 550만 달러(약 80억원)를 들여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는데, 이 수치는 딥시크-V3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
현재 V3에 추가 강화 학습을 거쳐 약 한 달 뒤 출시한 추론 모델 R1의 추가 비용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또 최종 훈련에 들어간 비용일 뿐 소규모 실험과 연구원 급여 등은 반영되지 않았다.
딥시크 연구원들은 오픈AI나 앤트로픽 같은 미국 경쟁사들과 비슷한 수준인 최대 100만 달러(약 15억원)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훈련 비용을 포함해 모든 비용까지 합치면 개발비는 훨씬 늘어나지만, 550만 달러라는 순 컴퓨팅 비용은 그 자체로도 효율적이라고 텐센트테크는 분석했다.
#앱 #빅테크 #오픈소스 #딥시크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