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2 (토)

"반도체만 믿었는데" 6억도 붕괴?...4000가구 폭탄에 집주인 ‘한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12월 평택 미분양 4071가구
단 한달새 1500여가구 폭증


파이낸셜뉴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는 가운데 수도권에서도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경기 일부 지역 미분양 주택이 한달새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각종 대책에서 제외되고 있는 상황이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가운데 경기 미분양 주택이 지난해 12월말 기준 1만2954가구로 집계됐다. 전월(1만521가구) 대비 23% 늘어난 수치다.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다.

문제는 미분양 물량 증가가 일부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곳이 '반세권(반도체+역세권)' 지역인 평택시이다.

경기도 통계에 따르면 평택시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1월 2497가구에서 12월 4071가구로 무려 63%(1574가구) 증가한 것이다. 경기 미분양 물량이 많이 늘어난 이유가 평택시에서 주인을 찾지 못한 빈집이 대거 새롭게 통계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시행 및 시공사측 요청으로 미분양 단지명을 비공개하는 아파트 현장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파이낸셜뉴스

주: 2024년 12월말 기준 자료 : 경기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평택시의 경우 지난해 아파트값이 2.93% 하락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평택시 고덕동 ‘호반써밋고덕신도시’ 전용 84㎡는 지난해 12월 6억원에 새주인을 찾았다. 최고 가격은 8억2500만원이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평택시 다음으로 미분양 물량이 많은 곳은 반세권 지역인 이천시이다. 1911가구로 2000가구에 육박했다. 전월 대비로도 300가구 증가했다. 뒤를 이어 오산시가 994가구를 기록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방의 미분양 물량도 문제지만 수도권 일부 지역도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하지만 정부 미분양 대책은 지방에만 초첨이 맞춰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고 말했다.

건설사 한 임원은 “수도권도 평택의 경우 웬만한 지방 수준의 미분양이 쌓이면서 신음하고 있다”며 “수도권을 하나로 묶어 볼 것이 아니라 지역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