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증시를 덮쳤습니다. AI를 개발하는 미국 빅테크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제한될까요?
A. 딥시크의 등장으로 투자자들은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딥시크가 미국의 반도체 견제에도 알고리즘 혁신을 통해 오픈AI를 따라잡았고, 저비용으로 비슷한 성능을 구현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미국의 대중 제재는 효과가 없었고, 빅테크 기업의 AI 해자는 무너졌다는 인식이 퍼졌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에 대한 많은 부분에 오해가 있고 본질이 왜곡된 채 전파됐다고 생각합니다. 딥시크의 등장은 위기처럼 보이지만 사실 AI 기술 전개의 방향성에 해당합니다. 딥시크 모델에 사용된 경량화 기술은 특별하지 않고 경쟁 모델 대비 비용을 크게 줄인 것도 아닙니다. AI 기술 방향이 추론으로 확대되기 위한 자연스러운 효율화 작업입니다. 딥시크가 '딥시크-V3'의 모델 훈련에 엔비디아 블랙웰을 사용했다면 더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딥시크-R1'을 블랙웰로 추론한다면 시간을 더 아낄 수 있습니다. 딥시크가 제시한 모델의 방향성은 사실 엔비디아의 기술 로드맵과 일치합니다. 딥시크가 열게 될 추론 영역으로의 시장 확장은 엔비디아의 두 번째 스케일링인 AI 에이전트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여전히 언어 모델의 메모리 대역폭 부족 문제는 해소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모델을 경량화하려는 것은 메모리 대역폭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추론용 주문형 반도체(ASIC)에서조차 HBM 탑재량은 급증하고 있습니다.
딥시크 사태는 단기 조정에 불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공포심 해소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클라우드의 투자 상향과 엔비디아 실적이 중요한 반등 트리거(방아쇠)가 될 것입니다. 미국 AI 모델의 경량화 성과, AI 비용 절감에 따른 시장 진입자 소식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위주의 반도체, 클라우드 업체의 투자 상향이 여전히 긍정적입니다. 한국 메모리 업체는 조정장 속에서 시장을 능가할 수 있습니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