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3 (일)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지난해 경주 월지 동남쪽 Ⅱ-나지구에서 확인된 신라 동궁전 추정 대형건물터. 직사각형 평면에 둘레에 10여개 넘는 기둥자리와 계단 흔적이 보인다. 건물터 한가운데는 ‘내진감주’라고 일컫는, 기둥을 제거하고 옥좌 등을 놓는 공간을 틔운 독특한 구조가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약 1000년간 신라의 도읍이던 경주에서 임금과 왕족의 궁궐이 자리한 곳은 어디였을까. 이에 얽힌 오랜 궁금증이 마침내 풀리기 시작했다.



학계에서는 ‘삼국사기’ 등의 사서기록을 근거로 왕경 유적으로 널리 알려진 경주 월성을 궁궐이 있던 곳으로 지목해왔다. 그러나 최근 발굴 결과 월성이 아니라 바로 옆에 있는 월지(안압지) 연못 둘레의 영역에서 대규모 궁궐터가 확인됐다. 임금과 태자의 거처로 추정되는 전각과 딸림 시설 등이 잇따라 출현하면서 월성과 월지의 성격과 역할에 대한 기존 시각을 바꾸는 것이 불가피해졌다는 견해들이 나온다.



국가유산청 산하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6일 오전 11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최근 발굴 내용을 포함한 경주 월성·월지 유적의 10년 조사성과를 요약, 공개하는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연구소 쪽은 왕경 토목기술이 집약됐다고 알려진 태자의 거처와 정무 공간인 동궁 전이 그간 알려졌던 것처럼 월지 연못 서쪽이 아니라 연못 동쪽에 자리한다는 내용의 지난해 발굴 성과를 발표했다.



연구소 쪽에 따르면, 발굴된 동궁 추정 대형 건물터는 월지 연못 동남쪽 권역(Ⅱ-나지구)에서 확인됐다. 정면 5칸(길이 25m)에 측면 4칸(18.1m), 넓이 450㎡(136평)의 직사각형 평면에 18개의 기둥 자리가 확인된다. 또 일정한 시점에 건물 남쪽에 권위를 드높이기 위한 월대 성격의 공간(길이 3.8m)을 덧대어 쌓아 전체 넓이를 547㎡(165평)까지 넓힌 것으로 드러났다. 자취가 확인된 진입 계단은 다섯개다. 건물터 정면에 두개가 있고 뒤쪽에 한개, 오른쪽 측면에 한개를 둔 것으로 파악되는데, 왼쪽 측면에도 미세한 흔적이 보여 실제로는 여섯개가 딸린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결과, 이 대형 건물터는 복도식 건물인 거대한 회랑과 익랑에 둘러싸여 있었고, 앞에는 넓은 마당이 펼쳐져 있으며, 내부에는 따로 정원의 연못인 원지를 파서 조경한 흔적들도 나왔다. 원지는 너비 43.56m, 길이 17.2m에 깊이 1m에 내부에 두 개의 인공섬까지 쌓은 얼개다. 기존 ‘동궁과 월지’와 연결되지 않고 따로 독립된 배수 체계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한겨레

6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스튜디오 159에서 열린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 공개회 현장.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월지 동궁추정 유적에서 나온 상아주사위 유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동안 신라 태자가 거처했던 동궁 궁궐터는 구체적인 실체가 파악되지 않아 실제로 어디에 있었을지는 학계의 오랜 논란거리였다. 1975~76년 월지와 그 주변 대지 발굴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던 월지 서쪽(Ⅰ-가지구)의 대형건물터가 지금까지는 가장 유력한 동궁터 추정 유적이었다. 이 건물터는 정면 7칸(29.1m), 측면 4칸(19.4m)에 평면 면적은 564㎡(170평)에 달한다. 그 위에 10여개의 기둥자리와 남쪽 정면 계단 2개, 뒤쪽 계단 1개가 딸린 장대한 규모이고 왕경인 월성 동쪽에 자리해 동궁으로 부를만한 입지조건을 갖췄다고 평가됐다. 이는 이후 월지 일대를 부르는 사적 명칭을 ‘동궁과 월지’로 표기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월지 동쪽에서 새롭게 실체를 드러낸 동궁터 추정 대형건물터의 발견으로 기존 월지 서쪽 건물터는 동궁이 아니라 왕의 집무공간이었을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 이런 추정에 따르면 통일기 이후 경주의 신라 왕궁 얼개는 월지를 중심으로 서쪽에 왕의 거처와 정무공간인 정전이, 동쪽에 태자의 거처와 정무공간이 서로 마주 보고 배치되는 모양새가 된다. 연구소 쪽도 “월지 서쪽의 기존 대형건물터는 주변보다 높게 조성된 대지 위에 있고, 건물 자체의 위계도 높아 보이는 점 등으로 미뤄 동궁으로 확정 짓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월지 동쪽에서 서쪽 건물터보다 위계가 한 단계 정도 낮은 대형 건물터가 드러남으로써 이 건물터가 동궁, 애초 동궁으로 추정했던 서쪽 건물터는 왕의 공간으로 보는 게 타당하며 두 건물이 독립적으로 운영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신라사 전문가인 주보돈 경북대 명예교수도 “이번 건물터 발굴결과는 통일 이후 궁내에 연못을 파고 그 동쪽에 동궁전 전각들을 두었다는 사서의 기록과도 맞아떨어진다”고 짚었다.



앞서 연구소가 2017~22년 발굴한 동궁 추정 건물터 유적의 북쪽 지구와의 관계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당시 북쪽 지구에서는 수세식 화장실 터를 비롯한 40여동의 크고 작은 건물터와 우물과 배수로, 담장 등의 흔적들이 상아주사위, 두마리 새가 새겨진 금박 조각, 문자 새겨진 연꽃무늬 기와 등의 고급 유물들과 함께 발견됐었다. 유적 성격상 동궁터 추정 건물지가 태자의 정무공간, 북쪽 지구는 태자와 그를 보좌하고 시중을 드는 궁인들의 생활공간이었을 것으로 연구소 쪽은 분석했다.



한겨레

월지 동남쪽 Ⅱ-나지구 발굴현장 유적 배치도. 동궁전으로 추정되는 대형건물터와 회랑, 연못인 연지 등이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월지 동쪽 동궁전 추정 대형건물터 앞 마당시설을 내려다본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원지 연못 유적 내부의 섬 흔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계 한켠에서는 태자의 동궁전으로 섣불리 단정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나온다. 70년대 발굴됐던 월지 서쪽 건물터와 이번에 나온 월지 동쪽 건물터에서 왕의 정전이나 사찰 금당에서만 보이는 ‘내진감주(內陣減柱)’라고 불리는 특수한 공간 구조가 공통으로 확인된다는 게 근거다. 두 건물터 한가운데에는 기둥을 치지 않고 내진이라고 부르는 직사각형 모양의 빈 구역을 둔 것이 보이는데, 고고학계와 건축사학계 전문가들은 왕의 옥좌나 큰 불상들의 대좌를 안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해석해왔다. 따라서 드러난 월지 동쪽 대형건물터에도 내진감주의 구조가 보인다는 건 이 건물터 역시 월지 서쪽 건물터처럼 왕의 공간으로 볼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는 것이다. 서쪽 건물터보다 조금 작지만, 앞마당은 더 넓고, 서쪽 건물터에 없는 측면 계단이 확인됐다는 점 또한 위계를 낮춰 볼 수 없는 근거가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겨레

공중에서 내려다 본 월지(한가운데 연못)와 주변 건물터 유적. 월지 왼편에 정비된 건물터가 1975~76년 발굴된 가지구 대형 건물터이고 월지 오른쪽에 보이는 빈 공터 같은 곳이 이번에 동궁전 추정 대형건물터가 나온 나지구 유적지다. 애초 가지구 대형 건물터를 동궁전으로 보는 의견이 대두됐으나 이번 발굴결과 기존 건물터는 왕의 거처이고 나지구 건물터가 동궁전이라는 추정이 힘을 얻게 됐다. 국가유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의 조사결과를 반영한 경주 동궁과 월지 조사구역의 건물배치 추정도. 기존에 왕경으로 간주해온 월성이 아니라 월지를 중심으로 핵심 궁궐이 조성됐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인공 연못인 원지 유적 안의 조경석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원지의 출수구 흔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월지 동쪽의 대형 건물터 발굴로 월성의 궁궐 존재설은 근거가 흔들리게 됐다. 기존 왕경유적인 월성의 경우 2014년부터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됐지만, 아직 일반적인 목가구 구조를 작춘 대형 궁궐 전각의 형식과 규모에 갈음하는 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런 정황들로 미뤄 월성은 4~7세기 고신라 시기엔 간이 왕궁의 면모를 유지하다 월지와 주변에 대형 건물군이 본격적으로 조성된 8세기 통일신라시대 이후에는 딸림 영역으로 기능과 역할이 대폭 축소됐을 것이란 해석이 설득력을 얻게 됐다.



한겨레

월성 서남쪽에서 확인된 의례 유적 내부의 주요 유물 출토 위치를 표시한 설명그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수정 목걸이 담긴 나무상자. 출토당시 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월성 서남쪽 의례유적에서 추가발굴된 또다른 개 한마리의 골격. 출토 당시 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소 쪽은 경주 월성 유적 서남쪽 에이(A) 지구의 추가발굴 성과도 공개했다. 지난해 10월 신라의 모태인 3세기 사로국 시대 건물터와 의례 제물로 바친 수컷 개의 전신 골격 등이 나와 눈길을 모았던 유적이다. 지난해 12월까지 진행된 추가 조사에서는 또 다른 개 한마리의 전신 골격을 찾아냈고, 주변에선 수정 목걸이가 담긴 나무상자, 둥근고리칼, 상어 이빨, 1,200여 알에 이르는 콩들이 나왔다. 당시 고급품인 옻칠된 나무상자 속에서 확인한 수정 목걸이는 수정에 꿴 실까지 함께 발견됐다. 보존상태가 좋아 사로국 시기 의례 틀거지를 밝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도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제공

























한겨레

출토 목걸이의 수정 부분에 실이 꿰어진 모습을 확대한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