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화연애담/ 사진=티브이데일리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투데이 백지연 기자] '춘화연애담' 고아라, 장률, 강찬희가 삼각 로맨스 사극으로 시청자들과 만난다. 사극의 인기를 이어갈 작품이라고 자신감을 보여 기대를 모았다.
5일 서울 용산구 CGV에서 티빙 '춘화연애담' 제작발표회가 진행돼 이광영 PD를 비롯해 고아라, 장률, 강찬희, 손우현, 한승연이 참석했다.
'춘화연애담'은 왕실 적통 공주인 화리(고아라)공주가 남편을 직접 낙점하는 '부마 직간택'을 위해 세상 밖으로 나와 자유로운 연애를 즐기며 벌어지는 로맨스다. 공주 화리가 직접 부마를 찾겠다는 선언에 도성 최고 바람둥이 최환(장률)과 1등 신랑감 이장원(강찬희)이 휘말리게 되면서 벌어지는 로맨틱 청춘 사극이다.
이날 이광영PD는 19금 판정이 된 '춘화연애담'과 관련해 "수위가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고 찍지는 않았던 거 같다. 저희는 기획이 실화다. 어린시절 책방에 갔다가 고서적을 찾았다. 그 책이 '춘화연애담'이었다. 근데 과감한 내용들이 담겼고 그 시대 때 누가, 왜 썼나 궁금했었다. 그 부분에 집중을 했던 거 같다"고 말했다.
5년만의 사극 컴백인 고아라. 고아라는 OTT로도 대중들과 처음 만났다. 고아라는 "사랑 이야기가 들어가야 하는 부분들이 있다보니 19금 타이틀이 붙었던 거 같다. 내용적 측면에서 필요했던 거 같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제가 작품에 임했던 건 대본을 접했을 때 색다르고 메시지가 와닿아서 함께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승연의 과감한 노출이 있었다. 어떤 생각으로 해당 캐릭터를 소화하려고 했는지에 대해 "제 이미지를 생각하고 대중들이 의외라고 생각을 했을 거 같다. 근데 데뷔했을 때 부터 저는 어른이었다. 캐릭터가 가진 서사를 표현하기에 자연스러운 장면들이었던 거 같다. 그렇게 예쁘게 만들어봤다. 지원 역 역시 자극적임 보다는 지원이의 성격에도 간극이 있다. 그런 모습들 속에서 재미를 찾아주시면 좋을 거 같다.
'원경' 등 다양한 사극이 흥행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이광영PD는 "사극 열풍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가 사극이 처음이다. 저도 사극에 이어졌던 촬영적 관습을 탈피하면서 촬영을 해보려고 했다. 미술적으로나 음악적 요소들도 보는 재미가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고아라는 "감사하게도 이렇게 재밌는 대본을 급하게 받아보게 됐다. 다른 작품을 준비 중이었다. 다른 전통 사극을 준비 중이었다. 대본을 보는데 화리 성격 일부에서 인생을 살아가는 모습들에서 공감을 느낀 부분들이 있었다"고 밝혔다.
장률은 "저도 첫 사극 드라마다. 작품을 읽을 때 이 작품이 갖고 있는 매력이 양파같다고 생각을 했다. 최환이라는 인물도 처음에 바람둥이, 재력가라는 수식어가 붙지만 이 사람의 내면이 드러나면서 입체적으로 그려지게 됐다. 나에게도 성장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기억에 남는 장면에 대해 강찬희는 "고아라랑, 장률 선배가 하늘을 날아다니는 장면이 있다. 그 장면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중반부 쯤에 나오는데 그 부분을 기다려주셨음 한다"고 알렸다.
장률은 "고난도 촬영이었고 고아라 씨와 유일한 커플룩 장면이다. 그 모습이 감독님이 보시기에도 귀여워 보이셨던 거 같다. 그 장면은 4부 엔딩 즈음 나오는 장면이다. 기대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또 로맨스 사극인 만큼 장률, 강찬희가 고아라와 호흡을 맞춘 소감을 말해 눈길을 끌었다. 장률은 "저는 고아라 배우와 첫 리딩을 할 때 놀랐다. 이미 대본에 푹 빠져 있는 모습을 봤다. 또 풍부한 감성으로 굉장히 많이 우셨다. 제가 많이 도움을 받을 수 있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풍부한 감성에 제가 정말 도움을 받았다"고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강찬희는 "저도 누나가 정말 많이 챙겨주셨다. 촬영할 때 눈으로 이야기를 해주신다. 정말 빠져들게 되고 자연스럽게 연기가 되더라"라고 말했다.
고아라는 "현장에서 정말 너무 재밌게 찍었다. 정말 많은 관심과 사랑을 부탁드린다. 시청자 유입 1위를 하면 뭐든 하겠다"며 공약을 내걸기도 했다.
[스포츠투데이 백지연 기자 ent@sto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