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 봄·여름에 활발했다가 대출규제로 주춤해진 부동산 시장이 탄핵 정국으로 인해 굳어버린 모양새입니다.
앞을 알 수 없는 안갯속에서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멈춰 섰는데, 이런 상황이 최소 상반기까지는 간다는 전망입니다.
김기봉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2주째 보합입니다.
지난 8월 한 주에 0.32%까지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9월 이후 점차 힘이 빠져 보합까지 왔는데, 흐름의 양상은 전국으로도 비슷합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의 여파인데, 원리금 상환을 감당 못 해 경매 '빚잔치'로 넘어가는 집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빌라와 달리 '안전자산'이라 여겨졌던 아파트 경매도 35%나 급증했습니다.
넘쳐나는 경매 물량과 달리 지난달 주거시설 경매 낙찰가율은 서울이 84.9%, 전국은 77.4%에 그쳤습니다.
[인터뷰] 이주현 / 지지옥션 전문위원 "이렇게 낙찰가율이 낮아진다는 건 경매 참여자들이 앞으로도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낙찰가를 산정할 때 굉장히 보수적으로 산정하고, 써내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이후 아파트 가격 변동은 미미하지만, 지난여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거래량이 이런 현상을 말해줍니다.
매수자는 빚을 내 집을 사는 상황이 부담스럽고, 매도자는 이 고비만 넘기면 집값이 오를 거라는 판단에 값을 낮추지 않는 교착 상태입니다.
이러한 동결 현상은 최소 6개월 간다는 전망입니다.
하지만 정치적 불안 요인이 제거되지 않고 길어질 경우, 하반기엔 단순 관망이 아닌, 공포로 인한 침체가 올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김기봉입니다.
YTN 김기봉 (kgb@ytn.co.k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지난해 봄·여름에 활발했다가 대출규제로 주춤해진 부동산 시장이 탄핵 정국으로 인해 굳어버린 모양새입니다.
앞을 알 수 없는 안갯속에서 사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멈춰 섰는데, 이런 상황이 최소 상반기까지는 간다는 전망입니다.
김기봉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2주째 보합입니다.
지난 8월 한 주에 0.32%까지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9월 이후 점차 힘이 빠져 보합까지 왔는데, 흐름의 양상은 전국으로도 비슷합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의 여파인데, 원리금 상환을 감당 못 해 경매 '빚잔치'로 넘어가는 집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의 주택 경매 진행 건수는 9만4천6백여 건으로 전년보다 37%나 늘었는데,
빌라와 달리 '안전자산'이라 여겨졌던 아파트 경매도 35%나 급증했습니다.
넘쳐나는 경매 물량과 달리 지난달 주거시설 경매 낙찰가율은 서울이 84.9%, 전국은 77.4%에 그쳤습니다.
[인터뷰] 이주현 / 지지옥션 전문위원 "이렇게 낙찰가율이 낮아진다는 건 경매 참여자들이 앞으로도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낙찰가를 산정할 때 굉장히 보수적으로 산정하고, 써내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불안한 정국으로 집값 전망이 어려운 상황에서 매도자도 매수자도 일단 '동작 그만' 상태에 들어간 것입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이후 아파트 가격 변동은 미미하지만, 지난여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거래량이 이런 현상을 말해줍니다.
매수자는 빚을 내 집을 사는 상황이 부담스럽고, 매도자는 이 고비만 넘기면 집값이 오를 거라는 판단에 값을 낮추지 않는 교착 상태입니다.
이러한 동결 현상은 최소 6개월 간다는 전망입니다.
[김인만 /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 : 문제는 국내 정치 불안이거든요. 이건 빨리 제거가 돼야 합니다. 안개가 끼면 빨리 제거가 돼야 하는데, 예전처럼 3월, 길어야 4월 정도 끝나고 조기 대선하고 상반기 중에 이 정치적 불확실성이 다 제거된다면 하반기에 상저하고가 (가능할 거라고 봅니다.)]
하지만 정치적 불안 요인이 제거되지 않고 길어질 경우, 하반기엔 단순 관망이 아닌, 공포로 인한 침체가 올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김기봉입니다.
YTN 김기봉 (kgb@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