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국제공항 사고여객기도 조류충돌(버드 스트라이크) 이후 기체 이상으로 동체착륙과정에서 공항 담벼락을 충격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때문이다.
2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충돌폭발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구조작업을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항당국과 항공업계는 철새 이동철 공항 주변으로 조류 유입이 많아 항상 긴장하고 있는 상태인데 이번 사고가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
한국공항공사와 국토교통부는 안국제공항 사고와 관련해 "조류 충돌 이후 복행(기체 착륙이 어려워 다시 이륙하는 행위·Go Around)하는 과정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조류충돌 증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철새의 텃새화와 철새이동경로및 이동고도의 예측이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철새의 텃새화가 뚜렷해 지면서 개체수가 급증해 조류충돌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공항주변의 조류 서식지가 개발되면서 갈 곳을 잃은 조류들이 공항 내 녹지대로 유입되고 있는 것도 조류충돌의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지난 5년 동안 국내 공항에서 운항 중인 항공기와 새가 부딪히는 ‘조류충돌’이 600여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5년 6개월간 국내 공항에서 발생한 '조류 충돌'은 623건에 이른다. 조류충돌은 항공기가 공항 활주로에 이착륙하는 과정이나 운항 중에 조류가 엔진이나 동체에 부딪혀 엔진손상과 동체 파손 등을 일으킬 수 있어 회항과 지연출발 등이 발생하거나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사고 항공기가 무안 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도별 조류충돌은 2019년 108건에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운송량이 감소한 2020년 76건으로 줄었다가 2021년 109건, 2022년 131건, 지난해 152건으로 늘었다. 이 기간 항공기 7편이 조류 충돌로 회항했다.
지난 2월 6일 인천공항에서 이륙한 한 항공사의 항공기 엔진과 착륙기어에 새가 날아들면서 돌아왔으며 6월 24일에는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달리던 항공기 전면에 새가 부딪히면서 회항했다. 1월 24일 오후11시50분쯤 충북 청주공항에서 이륙하던 대만 타이베이행 이스타항공 여객기가 조류와 출동하는 사고가 나 긴급 회항했다. 이 비행기는 안전점검 후 비행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자 이튿날 오전 출발했다.
이에 앞서 지난 10일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티웨이항공 여객기의 엔진에 새가 빨려들어가면서 엔진에서 불꽃이 발생했다. 다행히 엔진에 불이 붙지 않았고 인명피해도 없었다.
조류충돌은 외국공항은 물론 전투기도 예외는 아니다. 철새 이동철만 되면 공항당국이 새떼 퇴치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이유다. 2009년 1월 미국 뉴욕 라과디어 공항을 이륙한 여객기의 허드슨강 불시착도 거위가 엔진에 빨려들어가는 버드 스트라이크때문이었다. 2022년 1월 청주공항을 이륙한 스텔스전투기 F-35A가 독수리와 충돌한 뒤 활주로에 비상 착륙했다. 공군은 지난해 12월 조류충돌로 동체착륙하면서 기체가 손상된 해당 전투기를 도태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조류충돌로 1100억원대의 전투기를 잃은 셈이다. 조류 충돌은 항공기가 공항 활주로에 이착륙하는 과정이나 운항중에 조류가 엔진이나 동체에 부딪쳐 엔진손상과 동체 파손 등을 일으킬 수 있어 회항과 지연출발 등은 물론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공항당국은 조류충돌을 예방하기위해 별도의 전담인력을 배치해 공포탄을 쏘거나 음파분산기 등 장비를 도입해 새가 싫어하는 음파를 쏴 새를 쫓아 내고 있다. 또 조류가 자주 출몰하는 시간대와 지점에 전담인원을 집중 배치해 퇴치하고 있다.
특히 조류충돌을 예방하기위해서는 충돌 조류의 종류 분석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충돌시 충격으로 식별이 어려운데다 항공사의 충돌 조류 제출이 저조해 유전자 분석 도입과 조류사체 수거키트 사용법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기로 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세계 항공시장이 조류 충돌 대응에 매년 1조원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연직 선임기자 repo21@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