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은 0.97% 보합
대출규제에 정치 불확실성 커져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올해 서울 아파트값이 4% 이상 오르며 17개 시·도 가운데 상승률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에서도 강남 3구와 마용성 등 일부 지역만 오름폭이 두드러졌다. 시·도 가운데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세종으로 6% 이상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대출규제 강화에 탄핵정국까지 이어지면서 최근 들어 아파트값 하락세가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조정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값은 0.07%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서울 4.48%, 수도권 1.90%, 지방 -1.67% 등이다.
시·도별로 봐도 서울 독주가 눈에 띈다. 상승률 2위는 인천으로 1.56% 올랐다. 경기는 0.57% 변동률로 3위를 기록했다. 지방에서 올해 아파트값이 플러스 변동률을 보인 곳은 단 2곳이다. 강원(0.39%), 전북(0.31%) 등으로 사실상 보합 상태다.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하락한 곳은 세종이다. 무려 6.32% 폭락했다. 미분양 무덤인 대구가 -4.65%로 뒤를 이었다.
기간 : 1월 ~ 12월 9일 자료 : 한국부동산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광석 리얼하우스 대표는 "올해 아파트 시장은 수도권도 아닌 서울이 이끌었다"며 "지방 아파트 시장이 지역 가릴 것 없이 하락·약보합 장세를 보인 것도 특징이다"고 말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서울에서도 아파트값 오름세가 고루 확산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른바 강남 3구와 마용성 등 6곳이 상승률 1위부터 6위까지 휩쓸었다.
올 1~12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을 보면 성동구가 9.79% 뛰어 1위를 기록했다. 서초구(8.52%), 송파구(7.46%), 강남구(7.13%), 용산구(6.97%), 마포구(6.96%) 등의 순이다. 가장 상승률이 낮은 지역은 도봉구로 0.49%이다.
올해 서울 아파트 시장은 지난해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는 1월부터 9월까지는 거래도 늘고 상승곡선을 그렸다. 하지만 10월부터 12월까자 하락하는 ‘상고하저’ 국면이 나왔다.
올해도 예외는 아니다. 1월부터 아파트 시장이 회복되기 시작하더니 9월부터 거래량이 줄면서 실거래가가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상고하저 국면 속에서 조정 및 하락시점도 비슷하다.
기간 : 1월 ~ 12월 9일 자료 : 한국부동산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현재 조정국면에 진입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대출규제에다 가격 상승 피로감 등이 겹치면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탄핵 정국이라는 정치 불확실성까지 추가된 것이다.
조정 및 하락국면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거래 두절에 가격도 약세를 보이는 조정국면이 지속될 것"이라며 “단 금리 인하와 공급절벽 우려로 하락폭은 크지 않을 것 같다”고 진단했다.
과거 탄핵시점 가격 추이를 보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혼란했던 지난 2016년 11월부터 탄핵심판이 결정된 2017년 3월까지 전국 주택값은 0.15%, 서울은 0,31% 상승했다. 탄핵이 기각된 노무현 대통령의 경우 탄핵 소추안이 결의됐던 2004년 3월부터 5월까지 주택가격은 전국이 0.12%, 서울이 0.39% 올랐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정치 불안이 부동산 시장 등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본다"며 "다만 혼란이 장기화해 불확실성이 커지면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외곽지역은 더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