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26 (일)

OTT 하나만 안 본다…평균 2.8개 구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통위 OTT가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T 평균 2.8개 구독…지불금액 전년비 40% 증가

응답자 40% "OTT 사용 이후 유료방송 실시간 방송 시청시간 줄어"

뉴시스

[서울=뉴시스] 유료 동영상 콘텐츠 로고 갈무리 (사진=디즈니플러스, 넷플릭스, 티빙, 왓챠, 쿠팡플레이, 웨이브 로고 캡처)2023.11.1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서비스 매출과 이용률이 지속 증가하면서 유료방송 가입자, 시청 시간 및 채널수가 감소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13일 OTT의 주요 현황과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전년 대비 4.7% 줄어든 반면, 주요 OTT 서비스(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의 매출은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OTT 서비스 이용률의 증가 추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OTT 유료 이용자 비율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유료 OTT 서비스 이용자 중 다중구독은 평균 2.8개로 활발했다. 지불 금액은 전년보다 증가(40%)하거나 비슷(52.5%)하다는 응답이 많아 전반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료 OTT 서비스의 월간 사용자 수(MAU)는 2021년까지 급증했으나 2022년부터는 등락을 거듭하면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무료 광고기반 서비스인 유튜브의 월간 사용자 수, 사용시간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다. 유튜브 MAU는 2021년 12월 4365만명, 2022년 12월 4514만명, 2023년 12월 4565만명, 2024년 6월 4625만명으로 늘었다. 유튜브 사용시간(일평균)은 같은 기간 68.7분, 72.1분, 79.7분, 80.8분 등으로 증가했다.

OTT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유료방송 가입자, 시청 시간 및 채널수가 감소하는 등 유료방송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료방송서비스 개별 가입자는 2021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OTT 서비스와 유사한 상품인 유료방송의 VOD 매출액은 2018년 8151억원에서 2023년 4845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실제 2024년 설문조사 결과, OTT 서비스를 사용한 이후 유료방송을 통한 실시간 방송 시청시간은 응답자의 40.5%가 감소했다고 답했고, 시청채널수는 33.9%가 감소한 것으로 응답했다.

방통위는 "향후 OTT 서비스의 콘텐츠 차별화, 스포츠 독점 중계, 실시간 방송 확대 등으로 OTT 서비스의 유료방송 대체효과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료 OTT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 등의 무료 광고기반 OTT 서비스의 선택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현재 사용 중인 유료 OTT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유료방송으로 대체하겠다는 비율은 유료 OTT 서비스에 따라 0∼5.9%로 나타난 반면, 유튜브로 대체하겠다는 비율은 유료 OTT 서비스에 따라 24.4∼46.8%로 나타났다.

OTT 사업자가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방송사업자와 OTT 사업자 간 경쟁이 심화 되고 있다. OTT 오리지널 콘텐츠가 방송프로그램으로 편성되거나 방송프로그램이 OTT 서비스로 제공되는 사례가 많아져 OTT 오리지널 콘텐츠와 방송프로그램 간 유사성이 높아진 영향이다.

제작사들은 지상파에 콘텐츠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ogram Provider)보다 OTT 사업자를 선호한다고 응답해 영상콘텐츠 수요 측면에서 방송사업자와 OTT 사업자 간 대체성이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플릭스 전체 시청시간 중 한국 콘텐츠의 비중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아 넷플릭스의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높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사업자의 영상콘텐츠 제작 수요 위축과 맞물려 국내 영상콘텐츠 거래시장에서의 넷플릭스 영향력은 강화될 것으로 방통위는 판단했다.

국내 광고 시장에서 온라인광고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방송광고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24년 설문조사 결과, 유튜브 등 OTT 광고가 실시간 방송광고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광고주가 늘고 있다.

한편 이번 OTT 서비스 관련 분석은 방송사업자재산상황공표,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 사업자 감사보고서 및 IR 자료(2023년 자료)와 이용자 및 사업자 설문조사 등을 활용했다.

방통위는 이번 OTT 영향분석 결과를 2024년도 경쟁상황평가에 반영해 평가할 예정이다. 2024년도 경쟁상황평가 결과는 경쟁상황평가위원회 심의와 방송통신위원회 의결을 거쳐 2025년 상반기 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schoi@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