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현재 직무대리 체제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계엄 당시 출동 부대들은 주로 대테러 임무를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이번에 출동한 부대들은 최전방 접적지역 부대가 아니다"면서 "북한 감시나 도발 때 대응하는 체계에는 이상이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명수 합참의장이 3일 육군 1군단 예하 방공작전진지를 찾아 현장 점검하면서 일선 장병들에게 직접 합참 머플러를 목에 걸어주며 따뜻히 격려하고 있다. [사진=합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국방부는 "국방부 장관에게 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의 군령·군정을 보좌하는 임무가 있다"면서 "합참의장은 군령권을 위임 받아서 행사한다"고 말했다.
현재 국방부 차관인 김선호 장관 직무대행이 군령·군정 권한을 갖고 직무대리 인사 등 군 전반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설명했다.
군사대비태세 관련한 현행 작전·경계·감시 임무는 김명수 합참의장이 책임지고 수행하고 있다.
해군 대장인 김 합참의장은 전날인 12일 오후 '12·3 비상계엄 사태' 등과 관련해 군사대비태세 상황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김 의장은 "군은 정치적 중립을 유지한 가운데 군 본연의 임무에만 집중해야 한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김 의장은 "국가 방위와 국민 생명, 재산 보호, 한미 연합방위체계와 군사대비태세 확립을 최우선적인 목표로 임무를 수행해 달라"고 주문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10시23분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계엄군들이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뉴스핌TV]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군 당국은 이날 "육군 수도방위사령부에서 투입된 병력 중에 병사가 포함돼 있다"고 확인했다. 다만 군 당국은 "국회 본청이나 사무실 진입은 없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인 12일 오전 비상계엄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했다"면서 "병사가 아닌 부사관 이상 정예 병력만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수방사가 국회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수방사는 군사경찰단 75명을 계엄 상황에 투입했다. 이 가운데 42명이 병사였다. 8명은 장교, 25명은 부사관이었다.
또 수방사 1경비단 투입 136명 중에 병사가 19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수방사에서만 최소 61명의 병사가 국회로 현장 출동했다.
군 당국은 국군사이버작전사령부가 계엄사태 과정에 개입됐다는 주장에 대해 "확인되는 대로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kjw8619@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