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화된 지금 농사용 소는 필요 없다. 축사에서 사료로 키운 뒤 출하(出荷)하는, 이른바 ‘기업형 축산’의 시대. 빨리 살을 찌워 시장에 내놓아야 이익이 커지는 사업이다. 그러니 ‘살코기’의 생산만이 소들의 생존 이유다. 영민한 그들이 자신들의 운명을 어찌 모를까.
개에 관한 쓰라린 기억도 갖고 있다. 하교 길 산모퉁이 공터. 왁자지껄 어른들이 모여 있었다. 나무 거치대에 목이 매달린 개 한 마리가 매를 맞으며 마지막 신음을 토하고 있었다. 어른들을 막아설 수 없어, 눈물 흘리며 하릴없이 돌아서야 했다. ‘죽도록 맞다가’ 숨이 끊어졌음을 나중에 들었다. 개는 ‘때려잡아야’ 고기가 연하고 맛이 좋다는 것. 그 뒤부터 그곳에 있던 어른들에겐 인사도 하지 않았다.
돌아온 전원. 동물들과 공존하며 처참한 ‘살육의 추억’을 때때로 떠올리곤 한다. 지금 그들과 ‘진정으로’ 교감하려는 것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받고 싶어서다. 맹자는 누구에게나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차마 남에게 잔인하게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했고, 주자는 천지만물이 그런 마음을 가진 것처럼 사람 또한 이 마음을 가졌다고 해석했다. 타인은 물론 동물의 아픔까지 공감하려는 최소의 노력만이라도 기울인다면, ‘사람으로 사는 게 죄’라는 ‘참회성 발언’의 단순 반복으로 해소되지 않는 ‘잔인함의 죄의식’에서 얼마간 자유로울 수 있지 않겠는가.
조규익 숭실대 명예교수 |
[조규익 숭실대 명예교수]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