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2 (목)

'한동훈 2·3월 퇴진 로드맵', 윤 대통령 몽니에 좌초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정치팀 나세웅 기자와 정치권 움직임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나세웅 기자, 오늘 나온 뉴스들을 보면 일단 윤석열 대통령이 조기퇴진 의사가 없다는 거잖아요?

그런데 여태까지 국민의힘이 이런저런 안을 내면서 조기 퇴진 시점을 논의하고 있었는데 국민의힘 입장에서도 조금 황당해진 상태 아닙니까?

◀ 기자 ▶

그렇습니다.

국민의힘에선 요구도 하기 전에 답을 내버렸다, 이제 다 의미 없게 됐다는 한탄이 터져 나왔습니다.

당초 2, 3월에 자진 사퇴하면 늦어도 5월 전, 내년이죠.

차기 대통령을 뽑는 안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설득하겠다는 계획이었는데 하지만, 본격적인 설득에 나서기도 전에 좌초한 셈입니다.

당 내에선 친윤계가 내년 2, 3월 퇴진에 반대하고 있고,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입장을 밝히진 않았지만, 대통령실엔 차라리 탄핵 재판으로 시간을 끌고 또 기각 가능성에 기대는 게 낫다는 기류가 있습니다.

한동훈 대표가 어제 "대통령의 선의에 기댈 수밖에 없다"고 실토했는데, 여당 입장에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된 겁니다.

당장 탄핵소추안 표결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질서있는 퇴진은 고사하고 당내 균열이 극심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한동훈 대표는 탄핵에 찬성표를 던질지 표결에 참여할지,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도 못하고 있는데요.

조금 전 10분 전쯤 퇴근길에도 기자들이 붙어서 물었는데 여전히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하루종일 한동훈 대표 사무실에는 친한파 의원들과 소장파들이 수시로 오갔고요.

일부는 탄핵 표결에 참여하자, 탄핵에 찬성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대표의 운신의 폭은 더 좁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임기를 포함해서 당에 결정을 일임하겠다고 한 게 윤 대통령인데 지금 대통령실 분위기를 보면 일임한 게 맞나 싶은데요.

현실적으로 탄핵이 아닌 대안이 나올 게 있습니까?

◀ 기자 ▶

다음 탄핵안 표결이 오는 토요일, 14일로 예정돼 있으니 사흘 안에 위헌 논란부터 넘어야 합니다.

오늘 한덕수 총리 발언에 주목해볼 대목이 있습니다.

지난 8일 한동훈 대표가 한 총리와 공동 담화에서 "대통령 퇴진 전까지 여당과 총리가 국정을 챙길 거"라고 발표했잖아요.

한 총리는 오늘 국회에서 한 대표 발표 문구를 사전에 보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당정 간의 협의를 강화해서 국정에 안정을 기하라"고 지시를 했고, 대통령 뜻에 따라 "당과 긴밀히 협력한다"고 했을 뿐이라는 겁니다.

긴밀히 협력한다는 거지 공동 국정 운영은 아니라는 이야기인데요.

그러면서 "대통령이 외교를 포함한 국정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한 건 한 대표 담화고, 자신의 담화에선 한마디도 언급 안했다"고 책임을 돌리는 듯한 발언도 했습니다.

"대통령이 외교 권한 다 행사한다 다만 최대한 자제할 뿐이다"라고 당정 공동 국정운영 방안에 선을 그었고요.

한동훈 대표가 주장한 '질서있는 조기 퇴진'의 전제, 윤 대통령의 '2선 후퇴' 자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는 얘깁니다.

◀ 앵커 ▶

조기 퇴진에 윤 대통령에 동의할지부터 지금 미지수인 건데, 야당은 입장은 어떻습니까?

◀ 기자 ▶

야당은 윤 대통령이 직접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증언까지 공개됐는데 아직도 정치공학적인 계산이나 하고 있느냐며 당장 하야를 하거나 탄핵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고요.

민주당 지도부는 "'내란 수괴' 피의자인데, 당사자도 아닌 누가 대신해서 사퇴를 말하느냐"며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 앵커 ▶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세웅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이정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이정근 나세웅 기자(salto@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