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12·3 비상계엄과 시리아의 독재 붕괴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밀착 가속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여 개 시민사회단체와 5개 정당이 참여하는 윤석열 퇴진 울산운동본부 회원들이 11일 오전 국민의힘 울산시당 앞에서 윤 정권 탄핵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뉴스 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북한 전문가 마이클 매든은 10일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에 보낸 기고문에서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는 시리아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의 붕괴와 결합해 북한에 이중의(dual) 지정학적 도전을 제기했다"고 분석했다. 기고문은 "이러한 도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을 우선시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짚었다.
매든은 비상계엄 사태와 시리아 내전 종식이 북한 입장에선 '이중의 충격'이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북한은 시리아 정권의 붕괴를 예상하고 비상대응 계획을 세워뒀을 수 있지만, 그 속도까지는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완전히 예상 밖이었을 것(entirely unanticipated)"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동안 북한이 침묵했단 점에 주목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11일자 '12·3 비상계엄 사태'관련 보도. 신문은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 사진도 여러 장 실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로 노동신문은 지난달 중순부터 윤 대통령 비난 집회 소식 등을 매일 보도하다가 계엄 직후인 4일 윤 대통령 비난 성명과 집회 소식을 전한 이후엔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7일이 지난 11일에야 비난 공세를 재개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은 “심각한 통치 위기, 탄핵 위기에 처한 윤석열 괴뢰가 불의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파쇼 독재의 총칼을 국민에게 서슴없이 내대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나 온 괴뢰 한국 땅을 아비규환으로 만들어 놓았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북한 주민들이 볼 수 있는 노동신문에도 실렸다.
김정은과 바샤르 알 아사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자주 친서를 교환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든은 "김정은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후) 군사적 행동을 통해 역내 상황을 악화하거나, 노동신문 등을 활용한 선전 활동을 벌일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계엄 자체가 예측 범위를 완전히 벗어난 이례적 상황이었기에 북한이 조심스럽게 반응했다는 것이다. 또한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담화문에서 '북한 공산 세력', '반국가세력' 등을 언급했다"면서 "이로 인해 평양은 경계심을 가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2020년 1월 시리아를 방문해 바샤르 알 아사드를 만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러시아는 시리아 내전에 개입해 알아사드 정권을 지원했다. 지난 10일 러시아는 반군에 축출된 아사드를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러시아로 데려왔다고 밝혔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든은 북한이 한국의 계엄 관련 대책을 마련했을 때, 지난 8일(현지시간) 시리아에서 반군이 승리하고 아사드 정권이 무너지면서 새로운 불확실성이 더해졌다고 평했다. 그는 "가까운 동맹국이자 몇 안 되는 세습 독재정권(시리아)이 붕괴하고 한국에서는 정치적 전환의 싹이 트면서 김정은 정권은 매우 특별한 의사결정 환경에 처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은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를 설득해 기술 교류나 방위산업 협력을 가속함으로써 무기체계의 혁신과 확대를 시도할 수 있다"며 "또 연말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의제의 초점을 국가 안보로 집중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